KT, 3분기 영업이익 16% 증가해 5382억 달성

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KT는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7조 1267억원, 영업이익 5382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별도 기준 매출은 5조 1090억원, 영업이익은 3409억원으로 집계됐다. 연결 영업이익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DC), 부동산 등 주요 그룹사의 성장과 강북본부 부지 개발에 따른 일회성 부동산 분양이익이 반영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6.0% 증가했다. 별도 영업이익은 0.6% 증가했다.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 / 뉴시스 (포인트경제)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 / 뉴시스 (포인트경제)

무선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으며, 3분기 기준 5G 가입자는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80.7%를 차지했다. 유선 사업 매출은 1.5% 증가했고, 인터넷 사업 매출은 2.3% 늘었다. 미디어 사업 매출은 3.1% 증가했다. 기업서비스 매출은 저수익 사업 합리화 영향에도 불구하고 기업메시징과 기업인터넷 등의 요인으로 0.7% 증가했다. 반면 AI·IT 매출은 일부 사업 구조개선과 DBO(설계·구축·운영) 사업 기저효과로 매출이 감소했다.

KT는 3분기부터 AI 멀티모델 전략에 따라 한국적 대규모언어모델(LLM) 라인업을 본격적으로 출시했다. 7월에는 독자 개발 모델 ‘믿:음 K 2.0’을 공개했고, 9월에는 마이크로소프트 협력 기반 ‘SOTA K(State of the Art)’와 메타 오픈소스 활용 ‘Llama K’를 순차적으로 선보였다. 또한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산업별 맞춤형 AX 로드맵을 컨설팅하는 ‘KT 이노베이션 허브’를 개소했다. 이곳은 양사 AX 전문 인력이 협업해 B2B 고객이 AX 솔루션을 직접 체험하고 컨설팅을 받을 수 있는 산업별 맞춤형 지원 거점으로 운영된다.

KT 그룹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부동산, 미디어 등 주요 그룹사 중심의 성장세를 이어갔다. KT 클라우드는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AI 클라우드 사업 수주가 확대됐고, 가산 AIDC 완공으로 신규 데이터센터를 확보해 안정적인 매출 흐름을 유지했다. KT 에스테이트는 오피스와 호텔 임대 부문이 고르게 확대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증가했다. 특히 호텔 부문은 숙박 수요 회복과 신규 호텔 개관 효과로 실적이 개선됐다. 콘텐츠 자회사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편수 감소로 매출이 줄었으며, 앞으로 엄선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통해 품질과 화제성을 높일 계획이다.

KT 2025년 3분기 실적발표 갈무리
KT 2025년 3분기 실적발표 갈무리

케이뱅크는 9월 말 기준 고객 수가 1497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00만 명 증가했다. 수신 잔액은 38.5% 증가한 30조 4000억원, 여신 잔액은 10.3% 증가한 17조 9000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와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해 KT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피해 고객 보호와 재발 방지를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11월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객을 대상으로 USIM 무상 교체를 시행하고 있다. KT는 정부 조사에 성실히 협조하며 네트워크 안전 확보와 고객 보호 조치를 강화한다. 네트워크 보안 강화를 위해 초소형 기지국 신규 개통을 제한하고 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해 불법 기기 접속을 원천 차단했다.

소액결제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해 비정상 결제 유형을 차단하고 결제 유형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했다. FDS(Fraud Detection System)를 통해 비정상 접속과 단말기 변경을 실시간 탐지·차단하는 보안체계를 강화했다. 24시간 운영되는 전담 고객센터를 신설하고 전국 2000여 개 매장에 안전안심 전문상담사를 배치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지원을 제공한다.

한편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대표이사 후보군 구성 논의를 시작하며 차기 대표이사 선임 절차를 공식 개시했다. 위원회는 사외이사 전원 8인으로 구성됐으며, 외부 전문기관 추천, 공개 모집, 주주 추천(0.5% 이상 6개월 이상 보유), 사내 후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후보군을 구성한다. 이후 이사회에서 최종 후보 1인을 확정하고 주주총회에 추천하면 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가 최종 선임된다.

KT CFO 장민 전무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고객 보호 조치를 신속히 이행하는 동시에 정보보호 체계와 네트워크 관리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기반으로 주주환원 정책을 충실히 이행해 시장 신뢰를 높이고 통신 본업과 AX 사업의 성장을 통해 지속적인 기업가치 제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KT, 3분기 영업이익 16% 증가해 5382억 달성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