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경상북도가 총사업비 400억 원을 투입하는 '환동해 블루카본센터'의 설계 공모 당선작을 확정하고, 11월 중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에 착수한다.
2028년 준공, 2029년 3월 개원을 목표로 하는 이 센터는 해조류 기반의 블루카본 연구를 중점 추진하는 국내 최초의 전문기관이 될 전망이다.
환동해 블루카본센터는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병포리 일원(부지 2만1984㎡, 총면적 4523㎡)에 지상 3층 규모로 조성된다.
센터는 ▲해조류 기반 블루카본 연구, ▲해양 탄소흡수 메커니즘 분석, ▲블루카본 산업화 기술개발, ▲해양환경 교육·홍보 기능을 갖춘 복합 연구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특히, 동해안의 감태,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 생태계를 중심으로 연안 생태복원과 탄소 저감 기능을 실증하는 국내 유일의 블루카본 전문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블루카본(Blue Carbon)은 연안 생태계가 탄소를 흡수·저장하는 개념으로, 기존 맹그로브 숲, 염생습지 등이 공식 저장원으로 인정받아 왔다. 최근 국제사회는 갯벌과 해조류를 새로운 블루카본 저장원으로 인정하는 움직임을 활발하게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2026년 10월 페루 리마에서 열린 제63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총회에서 '국가별 탄소배출 산정기준' 최종 보고서에 해조류와 갯벌 등을 신규 탄소흡수원으로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으로 해조류가 흡수한 탄소량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공식적으로 계상될 수 있게 되면서, 해조류는 새로운 블루카본 자원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경상북도는 국제적 변화에 발맞춰 '환동해형 블루카본 모델'을 구축하고, 동해안 특유의 생태계를 중심으로 한 탄소흡수 연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조류 복원 및 대량 배양 기술, 탄소저장량 측정 및 평가체계 확립, 블루카본 산업화 기술개발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최영숙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환동해 블루카본센터 건립과 해조류의 탄소 흡수원 인정이 시기적으로 맞아떨어질 것"이라며, "해조류 실증연구를 통해 대한민국 해양 탄소중립의 표준모델을 제시하고 센터를 세계적 해양 탄소 연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