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전두성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대통령 재판중지법(형사소속법 개정안)’을 둘러싼 당정 간 ‘엇박자’ 논란 여진이 이어지던 상황에서 이른바 ‘친명(친이재명) 인사 컷오프(공천 배제)’ 논란까지 불거지며 연일 시끄러운 모습이다. 이러한 모습에 정치권에선 정청래 대표 리더십에 위기감을 보여 준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고, 컷오프 논란과 관련해선 향후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계파갈등이 생길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 ‘논란→해명’ 반복… 민주당, 잇단 ‘잡음’
이번 주 민주당 내에선 논란과 해명이 반복되는 모습이 나왔다. 이번 주 초 재판중지법을 둘러싼 당정 ‘엇박자’ 논란이 불거지면서 당 지도부는 진화에 나서야 했다.
지난 2일 민주당 지도부는 재판중지법을 ‘국정안정법’으로 부르기로 하고 법안 논의 가능성을 공식화했다. 하지만 대통령실이 재판중지법 논의 중단을 요청하며 하루 만에 없던 일이 됐다. 특히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3일 “대통령을 정쟁의 중심에 끌어넣지 않아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하기도 했다.
대통령실에서 이례적으로 여당을 공개적으로 질타하는 메시지가 나오면서 이른바 ‘당정 엇박자’ 논란이 불거졌다. 당내에서도 지도부가 대통령실과 더욱 긴밀히 소통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이후 당 지도부는 엇박자 논란 진화에 나섰다.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는 4일 KBS 라디오에서 ‘대통령실 입장 발표가 정 대표를 향한 경고성 메시지인가’라는 질문에 “경고성이라기보단 대통령을 정쟁 중심으로 끌어넣지 말아 달라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이처럼 엇박자 논란에 대한 여진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이번엔 ‘친명 인사 컷오프’ 논란이 확산됐다. 유동철 부산 수영구 지역위원장이 부산시당위원장 선거 컷오프를 두고 정 대표를 향해 공개 반발한 것이다. 유 위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이 당 대표던 지난해 총선 당시 영입한 인사다. 또 그는 현재 당내 최대 친명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 공동상임대표를 맡고 있다.
유 위원장은 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의(조강특위) ‘후보 면접’이라는 절차가 편파적이고 불공정하게 진행됐고, 그로 인해 저는 부당한 컷오프를 당했다”며 “이번 컷오프는 정 대표의 ‘컷오프 없는 100% 완전경선’ 약속을 정면으로 위반했다”고 비판했다.
앞서 민주당 최고위는 지난달 27일 부산시당위원장 후보 4명 중 유 위원장 등 2명을 컷오프하고 나머지 2명을 상대로 경선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경선 결과, 지난 1일 변성완 후보가 부산시당위원장으로 선출됐다.
유 위원장은 조강특위 부위원장인 문정복 조직사무부총장이 부산시당위원장 면접에서 부당한 질문을 했고, 이는 자신을 컷오프 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질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 위원장은 “당은 제 요구를 묵살한 채 시당위원장 선거를 강행했고, 당원투표 직전 날인 (지난달) 30일이 돼서야 조승래 사무총장의 대면 사과와 정 대표의 유선상의 유감 표명을 들을 수 있었다”며 “정 대표는 이날 컷오프된 제 심정을 이해한다며, 당 대표 특보를 맡아달라고 제안했지만, 거절했다”고 밝혔다.
이에 유 위원장은 당에 △면접 진상 파악 및 해명 △문정복 부위원장 사퇴 및 공식 사과 △컷오프 없는 완전경선 이행 등을 요구한 상황이다. 아울러 유 위원장은 “지금 주위에서 친명계이기 때문에 불이익을 당했다는 말들이 많은 것으로 안다”며 “저는 그런 추측이 사실이 아니길 바라고만 있을 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혁신회의도 지난달 29일 입장문을 통해 “이재명 영입 인재이며 기본사회 설계자이자 더민주전국혁신회의 공동상임대표인 유 후보는 경선 기회조차 얻지 못했다”며 “지난 3년간 이재명이 만들어온 당원주권 정당이 한순간에 무너졌다”고 반발했다.
당 지도부는 이러한 논란에 대해 ‘원칙과 규정에 의해 엄밀하게 진행됐다’고 해명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6일 MBC 라디오에서 “원칙과 룰이라고 하는 것이 흔들려선 안 된다”며 “원칙과 룰에 의해 조강특위가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당직 선거는 재심을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라며 재심 가능성에 선을 긋기도 했다.
한 초선 의원도 통화에서 “(후보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가 있으면, 그것을 경선까지 끌어올리는 것과 컷오프를 안 하겠다는 것은 다른 문제”라며 “1차 심사 과정에서 올라온 사람들을 배제하지 않겠다는 것이 (정 대표의) 기본 취지”라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혁신회의 측은 일단 확전을 자제하며 당 지도부 대응을 기다린다는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어제(5일)는 유 위원장 개인의 입장이었다”며 “저희도 지도부 반응에 대한 시간을 줘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
하지만 민주당의 연이은 논란을 두고 정치권에선 정 대표 리더십에 위기감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정 대표 리더십에) 이미 적지 않은 위기감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친명 인사 컷오프 논란을 두고는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당내 계파갈등이 생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민주당은 계파갈등설엔 선을 긋고 있다. 문 원내수석은 이날 BBS 라디오에 나와 “오해할 수는 있지만, (특정) 계파를 배제하기 위한 어떤 불공정한 과정이었다고 보이지는 않는다”고 했고, 장경태 의원은 SBS 라디오에서 “민주당에 친명계가 아닌 의원이 어디 있나. 지역위원장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혁신회의 관계자도 이른바 ‘명청(이 대통령·정 대표) 갈등설’에 대해 “확대해석”이라고 선을 그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