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없는 국힘… 보수 깃발 쟁탈전의 공허함

시사위크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여(對與) 대응 전략은 좀처럼 여론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내세우는 “정치보복”, “야당탄압”은 낡은 구호의 반복이란 비판이 제기된다. / 뉴시스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여(對與) 대응 전략은 좀처럼 여론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내세우는 “정치보복”, “야당탄압”은 낡은 구호의 반복이란 비판이 제기된다. / 뉴시스

시사위크=김두완 기자  국민의힘은 여전히 ‘내란 수사’라는 거센 소용돌이 속에 서 있다. 권성동 의원 구속에 이어 추경호 전 원내대표까지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되면서 정당 해산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그러나 국민의힘이 내세우는 대응은 “정치보복” “야당탄압”이라는 낡은 구호 반복에 머물러 있다. 전략 부재의 강공 프레임은 중도층의 차가운 시선은 물론 내부 결속력까지 흔들어 놓는 모양새다. 이 공백을 틈타 홍준표·한동훈·이준석 등 보수 외곽 주자들이 강경 메시지를 경쟁적으로 쏟아내며 ‘보수 대항마’ 자리를 선점하려는 깃발 경쟁에 불이 불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 모레 위 성 쌓는 국힘… 외각에선 호시탐탐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여(對與) 대응 전략이 좀처럼 여론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다. 장동혁 대표는 이틀 전(4일)까지만 해도 의원총회에서 “이재명 정권과의 전면전”을 선언하며 강경 노선을 예고했지만, 6일엔 전격적으로 광주 5·18 민주묘역 참배 일정을 발표하며 ‘통합’ 메시지로 급선회했다. 당내 일각에서는 “전략적 판단인지 위기 속 즉흥 대응인지조차 불분명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송언석 원내대표의 메시지도 혼선을 키웠다. 송 원내대표는 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뉴욕시장 선거 결과를 언급하며 “민심은 트럼프가 아닌 맘다니를 택했다”고 말했다. 보수정당 원내대표가 미국 보수 진영의 패배 사례로 한국 진보 정권을 공격하는 모양새가 되자 당지지 세력들은 “부적절한 비교”라는 우려를 제기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시정연설 당시 국민의힘 일부 의원이 대통령이 인사하는 순간 “꺼져라” “범죄자”라고 고함을 친 장면도 보수권 내 비판을 불러왔다. 경주 APEC 정상회의 이후 여야를 막론하고 “외교·안보 성과는 평가할 만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에서 국회의 품위를 훼손하는 행위가 중도층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보수 진영의 대표적 논객인 조갑제 씨 역시 최근 방송·기고 등을 통해 “국민의힘의 강경 대응은 설득력을 잃었다”며 “구호만 반복하면 지방선거에서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직격했다. 보수 내부에서조차 이 같은 비판이 이어지자 당 지도부의 내란 수사 국면 대응은 주도권 확보는커녕 메시지 혼선만 키우고 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이 보수 외곽 주자들의 ‘존재감 경쟁’을 부추기는 배경이 되고 있다는 분석도 힘을 얻는다.

국민의힘의 전열이 흔들리는 사이, 보수 외곽 주자들은 정치적 공간을 넓히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사진은 왼쪽부터 홍준표 전 대구시장,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 뉴시스
국민의힘의 전열이 흔들리는 사이, 보수 외곽 주자들은 정치적 공간을 넓히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사진은 왼쪽부터 홍준표 전 대구시장,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 뉴시스

전열이 흔들리는 사이 보수 외곽 주자들은 정치적 공간을 넓히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6일 페이스북에서 “강제 해산을 당할 바엔 자발적으로 해산하고 다시 시작해야 한다”며 국민의힘 해체·재창당론을 꺼내 들었다. 통합진보당 해산 사례까지 언급하며 “추경호·권성동 사건에서 외곽 세력의 경선 개입이 드러날 경우 정당 해산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한 것은 보수 재편 국면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부각하려는 포석으로 읽힌다.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도 같은 날 “이재명 정권의 플랜B가 계엄일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인도 인디라 간디 사례를 언급했다. 강경 지지층을 겨냥해 반(反)이재명 전선을 선명하게 그리는 행보이지만 윤석열 정부 핵심 인사였던 점에서 “보수 몰락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평이 뒤따른다. 당내 기반 역시 넓지 않다는 점도 약점으로 꼽힌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을 “명백한 위법”이라고 규정하고 집단 행정소송 추진에 나섰다. 절차적 정당성과 법적 검증을 강조하며 ‘합리보수’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다만 원내 기반이 약한 신생 정당이라는 구조적 한계는 여전히 부담이다.

세 인물이 경쟁적으로 존재감을 키우는 듯 보이지만 보수 재편의 대안으로 보기에는 각자 적지 않은 리스크를 안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홍준표 전 시장은 강한 직설 화법과 잦은 내부 공격으로 인해 정치적 확장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했으며 대선 경선 낙마 경험도 반복됐다. 한동훈 전 장관은 당내 지지세력 기반이 약하고, 지난해 계엄 반대 과정에서 선명한 결단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평가가 남아 있다. 이준석 대표는 신당이란 구조적 약점과 지난 대선 과정에서 보여준 ‘여성 혐오 발언’ 등 논란이 여전히 정치적 부담이다.

결국 전략을 잃은 국민의힘, 리더십을 확립하지 못한 보수 외곽 주자들 속에서 보수 진영은 누구도 깃대를 세우지 못한 채 공허한 경쟁만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전략 없는 국힘… 보수 깃발 쟁탈전의 공허함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