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사 의식한 배당?" 삼성 리츠 ETF, 분배금 위해 원본 훼손 의혹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삼성자산운용의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ETF'가 분배금을 지급하기 위해 펀드 원본을 훼손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경쟁사 견제를 위해 과도한 분배 전략을 택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면서 투자자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논란의 핵심은 최근 6개월간 분배금과 과세 표준액 간 괴리가 비정상적으로 확대됐다는 점이다.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ETF는 편입 자산에서 나오는 배당이 분배 재원이 되기 때문에 분배 금액과 과세 표준액이 거의 일치해야 한다.

하지만 해당 ETF는 지난 5월 이후 총 210원의 분배금을 지급했지만, 과세 표준액은 110원에 불과했다. 괴리 금액 100원은 월평균 분배금(35원)의 3배 수준으로, 정상적 운용 범위를 벗어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월별 데이터에서도 이같은 흐름은 뚜렷하다. 5월엔 분배금 37원·과세 표준액 18원으로 차이가 발생했고, 8월에는 분배금 34원·과세 표준액 13원으로 괴리가 커졌다. 

특히 9월에는 동일한 분배금 34원을 지급하고도 과세 표준액이 '0원'을 기록해, 지급액 전부가 수익이 아닌 원본 회수(자산 매각)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업계에서는 "분배금 대비 과세 표준액이 지나치게 낮은 것은 배당이 아닌 보유 자산 매각 대금이 활용됐다는 정황"이라며 사실상 원본을 줄여 투자자에게 돌려줬을 가능성을 보고 있다.

특히 경쟁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 ETF'가 지난해 7월 상장한 이후 두 상품 간 분배 구조 차이가 급격히 확대된 점도 의혹을 키우고 있다. 업계에서는 월 배당 ETF 시장 주도권을 지키기 위해 원본을 훼손하면서까지 분배금을 맞춘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 운용업계 관계자는 "해당 ETF가 과도한 분배를 시작한 시점이 공교롭게도 경쟁 상품 상장 직후"라며 "분배금 수준을 유지하려다 원본 자산까지 매각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월 배당 ETF의 장점은 자산가치 상승과 함께 안정적인 배당을 받는 구조인데, 원본을 줄여 배당을 만든다면 신뢰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반면 삼성자산운용은 원본 훼손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배당 재투자 등으로 발생한 이익금 역시 법적으로 분배 가능한 재원"이라며 "이는 매니저 재량에 따른 운용일 뿐, 원본을 훼손한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또 "분배금 지급 전후로 보유 주식 수량이 변한 사실이 없으며, 타 ETF에서도 과세 표준액과 분배금이 일치하지 않는 사례가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경쟁사 의식한 배당?" 삼성 리츠 ETF, 분배금 위해 원본 훼손 의혹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