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보험 시장은 국민 대다수가 가입할 만큼 풍부한 수요를 확보했음에도,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레드오션'으로 꼽힌다. 이에 보험사는 시장 내 입지 확보 차원에서 각종 새로운 상품과 마케팅과 같은 프로모션을 쏟아내고 있다. 본지는 'T·M·I(Too Much Insurance)'를 통해 보험사 정보를 들려주고자 한다.
오늘의 보험 TMI 주인공 △DB손해보험 △토스인슈어런스 △하나생명.
◆DB손해보험, 팁스(TIPS) 신규 운영사 선정
DB손해보험(005830)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 '팁스(TIPS)'의 운영사로 신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이번에 새로 선정된 운영사는 총 39곳으로, 이로써 전체 팁스 운영사는 약 150곳에 달한다. 보험사 중에서는 교보생명과 삼성화재에 이어 DB손해보험이 세 번째로 합류했다.

팁스는 유망 기술을 보유한 초기 창업기업을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발굴·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사는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멘토링·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한다. 팁스 선정 기업은 운영사로부터 1억원 이상의 투자를 받으면 정부로부터 연구개발(R&D) 5억원, 사업화 1억원, 해외마케팅 1억원 등 최대 7억원의 추가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다.
DB손해보험은 이번 운영사 선정으로 기술력 있는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보험산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팁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려는 스타트업은 팁스 운영사의 투자 또는 투자 확약을 받은 뒤 추천을 거쳐 정부 심사를 통과해야 하며, 설립 7년 이내 기업(딥테크 분야는 10년 이내 기업)이 지원 대상이다.
◆토스인슈어런스, 신입 설계사 교육 체계 고도화
토스인슈어런스는 신입 설계사를 위한 교육 체계를 전국 순회형 3단계 성장 구조로 고도화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설계사가 보험을 이해하고 빠르게 정착할 수 있도록 '입문–온보딩–테마'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마련한 것으로, 보험업 무경력자나 최근 1년 내 6개월 미만 종사자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모든 신입 설계사는 본사 교육을 이수해야만 정식 활동이 가능하다.

토스인슈어런스는 단순한 인력 확충이 아닌 완주 중심의 인재 육성에 초점을 맞췄다. 지원자는 스크리닝 콜을 통해 적합성과 동기를 검증받으며, 무단이탈·반복지각·중도포기 시 즉시 미이수 처리된다. 전액 무상으로 진행되는 교육은 11월 서울·대전·전주·부산에서 동시에 운영되며, 입문 과정에서는 보험 구조 이해부터 상담·세일즈 실무를 익히고, 온보딩 과정에서는 ERP·CRM 등 디지털 업무 시스템을 활용한 실습 중심 교육이 이뤄진다.
테마 과정에서는 고객 신뢰를 구축하는 전문 상담 역량과 메디컬 인사이트 기반 실전 지식을 강화해 현장 적용력을 높인다. 토스인슈어런스는 앞으로 전국 단위 교육 횟수와 기회를 확대하고, 신입 설계사의 정착률 향상 및 윤리적 영업문화 확산을 위한 장기 육성 모델을 구축해 '완전히 다른 보험'을 구현할 핵심 인재 양성에 집중할 계획이다.
◆하나생명, AI 기반 온라인 불법영업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하나생명은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불법 보험영업을 자동 탐지·대응하는 '인공지능(AI) 기반 불법영업 모니터링' 시스템을 자체 개발해 운영 중이라고 6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하나생명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경량화 거대언어모델(sLLM·smaller Large Language Model)을 활용해 게시글의 문장 구조, 어휘, 문맥 등을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불법 모집행위나 과장·허위 광고 문구를 자동 식별하고, 준법지원 부서의 검증을 거쳐 신속하게 대응한다.
그 결과, 기존 수작업 대비 350% 이상 많은 불법 광고물을 적발했으며, 불법 게시물 확산을 조기 차단함으로써 소비자 피해 예방 효과도 기대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하나생명은 이번 시스템 외에도 AI를 활용한 내부통제 강화와 소비자 보호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 머신러닝(ML) 기반 완전판매 예측 모델을 개발해 계약별 불완전판매 가능성을 사전에 점검하고, 영업채널에 계약 스코어를 제공함으로써 완전판매를 유도한다. 또한 STT(Speech To Text) 기반 VOC(Voice of Customer) 분석 시스템을 도입해 고객 상담 내용을 실시간 분석·시각화함으로써 상담원의 대응 효율성과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