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하나증권, "롯데관광개발, 2026년에도 성장 전망...최선호주 제시"

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롯데관광개발에 대한 증권사들의 평가가 잇따라 상향 조정됐다. 키움증권과 하나증권은 각각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롯데관광개발
롯데관광개발

6일 키움증권 임수진 연구원은 롯데관광개발의 목표주가를 기존 2만7000원에서 3만2000원으로 19% 상향했다. 임 연구원은 중국 증시 회복과 가상자산 가치 증가로 중국 관광객의 제주도 수요가 2026년에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2026년 영업수익을 기존 추정치 대비 9%, 영업이익은 19% 상향 조정했다. 현 주가 기준 2026년 예상 주가수익비율(PER)은 14.6배로 저평가 상태이며, 2027년에는 리파이낸싱으로 금융비용이 줄어들어 PER이 8.4배까지 낮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3분기 실적 리뷰에서는 9월 말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시행 이후 제주 지역 수요가 내륙으로 이동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10월 외국인 관광객은 전년 대비 25% 증가해 올해 평균 성장률 17.5%를 상회했다. 이는 비자 완화보다는 한중 관계 개선에 따른 여행 활성화 효과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하나증권 이기훈 연구원도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2만6000원에서 2만9000원으로 12% 상향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2027년 주당순이익(EPS)을 47% 상향 조정하고, 목표 주가수익비율(P/E)을 파라다이스에 15% 할증한 21배로 적용했다.

2027년 예상 당기순이익은 약 1200억원으로 제시했다. 2026년 예상 영업이익은 1838억원으로 28% 증가할 것으로 봤다. 연간 감가상각비 약 900억원과 영업외 리스부채를 포함해 약 3000억원에 가까운 현금흐름이 발생하며, 일부 설비투자(Capex)를 제외하면 8000억원이 넘는 장기차입금 상환에 활용할 계획이다. 변수가 없으면 2028~2029년 전액 상환이 가능하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수수료 없는 중도 상환 혹은 리파이낸싱도 가능해 금융비용이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누적 결손금이 1조원을 넘어 당분간 법인세 부담도 제한적이다.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867억원, 영업이익 5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4%, 13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475억원을 상회하며 사상 최대 실적과 3분기 연속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해외 전환사채(CB) 상환에 따른 1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순이익도 약 200억원에 달했을 것으로 분석됐다.

양 증권사는 롯데관광개발을 업종 내 최선호주 및 컨빅션 최선호주로 제시하며 긍정적 시각을 유지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키움·하나증권, "롯데관광개발, 2026년에도 성장 전망...최선호주 제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