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금융감독원 설립 이래 처음으로 빅테크 기업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가 열렸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이 자리에서 플랫폼 이용자 보호가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11일 네이버스퀘어 역삼에서 네이버, 카카오,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쿠팡, 우아한형제들(배민) 등 5개 주요 빅테크 기업 대표 및 소상공인연합회장과 만나 빅테크의 건전한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이 원장은 "빅테크가 플랫폼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경제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했다"며 "특히 대출 플랫폼 등 신기술을 기반으로 혁신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며 전통 금융업의 성장과 경쟁을 촉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빅테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플랫폼에 참여하는 다양한 경제 주체를 수익 창출의 도구로만 볼 것이 아니라, 함께 성장해 나갈 동반자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그는 △플랫폼 이용자 중심의 경영 정착 △소상공인과의 상생 △위험 관리·내부통제 강화 △IT 보안·개인정보 보호 강화 등 네 가지 과제를 제언했다.
이 원장은 먼저 플랫폼 이용자 중심의 경영을 정착시켜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면서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고 이용자가 이탈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신조어인 '엔쉬티피케이션(en-shittification)'을 언급하며, "고객 가치를 최우선에 두고 플랫폼 운영의 공정성과 책임성을 높여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알고리즘이 사람의 선택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작동할 때 진정한 혁신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소상공인과의 상생에 힘써달라는 당부도 이어졌다. 정부 국정과제에도 '온라인 플랫폼과 소상공인의 상생'이 포함돼 있다며, 빅테크가 소상공인에 대한 합리적인 수수료 부과와 신속한 판매대금 정산 등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요청했다.
위험 관리와 내부통제에 대해서는 "금융과 비금융의 경계가 희미해지고(Big-Blur) 플랫폼을 통해 광범위한 금융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빅테크의 운영 리스크가 금융 시스템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빅테크가 자체적으로 위험 관리 및 내부통제 체제를 구축하여 실효성 있게 운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마지막으로 IT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빅테크 플랫폼에는 수천만 명의 정보가 집중되기 때문에 전산 장애나 사이버 침해 사고는 막대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원장은 IT 리스크 관리를 비용 요인이 아닌 핵심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충분한 보안 투자를 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참석한 빅테크 CEO들은 금융당국 및 소상공인연합회와의 소통에 감사를 표하며, 소상공인 등 다양한 플랫폼 참여자와의 동반 성장에 책임 있는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안신용평가 고도화, 수수료 합리화, 입점업체 지원 등 회사별 추진 전략을 공유하며 이용자 보호 및 상생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빅테크가 고객 이익과 신뢰 확보를 기반으로 혁신 성장을 지속하길 기대한다"며 "금감원도 소비자 보호와 금융 안정을 구현하면서 빅테크의 상생과 혁신 노력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화답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