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오픈AI가 아시아에서 세 번째, 전 세계에서 열두 번째 지사인 ‘오픈AI 코리아’를 설립하며 한국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챗GPT 출시 이후 급격히 늘어난 국내 이용자 기반과 산업 전반의 AI 전환 수요를 발판 삼아 한국을 글로벌 AI 허브로 키운다는 전략이다.
10일 서울 광진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오픈AI는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 혁신적인 기업, 빠른 디지털 수용도를 갖춘 AI 혁신의 최적지”라며 한국 지사 출범을 공식화했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산업, 학계, 정부 전반에서 AI 대전환을 함께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오픈AI는 카카오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해 챗GPT를 카카오톡 생태계에 연동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서울대와도 11일 업무협약(MOU)을 맺고 학계 협력을 본격화한다. 이어 12일에는 스타트업과 개발자, 투자자를 연결하는 ‘파운더스 데이’를 열고, 11월에는 ‘데브데이 익스체인지’ 행사를 국내에서 개최해 오픈AI 최신 기술을 공유할 계획이다.
스타트업·크리에이터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2월 국내 첫 개발자 워크숍 ‘빌더랩’을 연 데 이어, 최근에는 21명의 창작자가 참여한 ‘크리에이티브 랩 서울’을 마쳤다. 오는 가을 DDP 서울라이트 행사에서는 오픈AI의 영상 생성 모델 ‘소라’를 활용한 미디어 아트를 선보인다.
출범 행사에는 브래드 라이트캡 COO, 올리버 제이 글로벌 비즈니스 총괄 등이 참석했으며,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와 송길영 박사 등이 ‘AI: 인류 협업과 혁신의 새로운 엔진’을 주제로 패널 토론을 이어갔다.
업계에서는 오픈AI의 한국 지사 설립이 단순한 거점 확보를 넘어,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에서 한국이 핵심 무대로 부상했음을 보여주는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