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윤진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HL-GA) 공장에서 한국인 직원 300여 명이 이민당국에 단속돼 구금된 사태와 관련해 “이번 일로 한미 관계가 흔들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US오픈 테니스 남자 결승전을 관람한 뒤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한국과 매우 좋은 관계를 갖고 있다. 정말 좋은 관계다. 알다시피 우리는 방금 무역 협상을 체결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배터리에 정통한 인력이 부족하다면 한국에서 전문가를 불러와 미국 근로자를 훈련시킬 수 있어야 한다”며 “이 상황 전체를 검토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전문가를 일정 기간 초청해 도움을 받고, 우리 국민이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한국 기업이 수십조 원대 투자를 약속하고도 미국 내 취업·노동 비자 발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에 투자하고 진출한 우리 기업들의 오랜 민원이었던 미국 비자 문제가 해결될지 주목된다. 그는 “나는 한국이 말한 바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태와 관련한 트럼프 대통령 입장 표명은 이번이 두 번째다. 트럼프 대통령은 단속 직후인 지난 5일 백악관에서 “그들은 불법 체류자였고 ICE는 자기 할 일을 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지난 4일 오전 국토안보수사국(HSI) 요원들은 HL-GA 공장을 급습해 수백 명의 한국인 직원을 상대로 체류 자격 조사를 벌였다.
당시 방진복을 입고 설비 작업을 하던 근로자들은 ESTA(전자여행허가)와 F1(학생비자) 등 비자 상태를 일일이 확인받았고, ESTA 입국자는 집중 단속 대상이 됐다.
일부는 쇠사슬에 묶여 구금 시설로 이송됐으며, 임신부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현지 라틴계 청소 인력은 상당수가 출근하지 않아 사전에 정보를 공유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구금된 한국인들은 현재 조지아주 포크스턴 ICE 구금시설 등에 흩어져 수감돼 있으며, 외교부는 전세기를 투입해 귀국시키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조기중 워싱턴 총영사는 “가능한 한 신속히 귀국을 지원하겠다”며 플로리다 잭슨빌 국제공항 출발 가능성을 언급했다. 대통령실도 “한미 간 석방 교섭이 타결됐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추방이 아닌 ‘자진출국’ 형식으로 귀국시키는 방향을 미국 측과 논의하고 있다. 추방 처리될 경우 수년간 입국 금지나 비자 심사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