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연구 성과 소통" 서경배과학재단 'SUHF 심포지엄 2025' 개최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서경배과학재단은 지난 8월30일, 아모레퍼시픽 본사에서 'SUHF 심포지엄 2025'를 개최했다.

재단이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후원한 이번 학술 행사는 '보이는 너머의 생명(Life beyond the Visible)'을 주제로, 2020년 선정된 서경배과학재단 신진과학자들이 지난 5년간 수행한 연구 성과를 학계와 다양한 대중에게 소개하는 자리였다. 당일 현장에는 생명과학 연구자 외에도 고등학생, 교사, 기업 소속 연구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약 400명이 참가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영국 엑서터 대학교(University of Exeter) 오스틴 스미스(Austin Smith) 교수의 기조 강연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서 연구자 세 명의 졸업 대담과 연구 성과 발표 및 포스터 세션을 비롯한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됐다.

조원기 교수(카이스트 생명과학과)는 '빛을 이용한 세포 속 여행'을 주제로, 초고해상도 현미경을 이용해 밝혀낸 새로운 세포 현상을 소개했다. 기존 현미경으로 보기 어려웠던 세포 내부의 모습을 최신 기술을 통해 생생히 보여주며 세포핵에서 일어나는 전사의 메커니즘, 핵막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설명했다.

이주현 교수(슬론 케터링 연구소)는 '폐 손상 후 줄기세포와 기저 세포의 재구성을 통한 재생 및 질병 기전 규명'을 주제로 발표했다. 폐에 존재하는 줄기세포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손상 회복 또는 질병을 어떻게 좌우하는지 설명했으며, 실험실에서 제작한 미니장기인 '오가노이드'로 폐포의 줄기세포인 AT2 세포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노성훈 교수(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는 '단백질의 성장과 사회화: 몸속 단백질들은 어떻게 협력할까?'를 주제로 한 연구를 소개했다. 초저온전자현미경(Cryo-EM)은 단백질을 영하 180도 이하로 급속 냉각해 원자 단위 구조를 포착하는 첨단 기술이다. 이를 이용해 단백질이 정확하게 접히는 과정과 여러 단백질이 상호작용하며 세포의 균형을 유지하는 정교한 시스템을 설명했다.

2020년 시작한 'SUHF 심포지엄'은 서경배과학재단 신진과학자들이 5년 동안 연구한 성과를 공개 발표하는 일종의 졸업식이다. 최신 생명과학 지식과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청중의 질의에 실시간으로 답하며 재단의 지원으로 얻은 지식을 사회와 나누는 자리이기도 하다. 해당 행사는 연구자뿐 아니라 과학에 관심이 많은 다양한 대중과 소통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서경배 이사장은 "과학이야말로 미래를 여는 강력한 열쇠라고 믿으며, 특히 생명과학은 인류의 생명과 건강, 사회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라며 "지난 9년간 생명을 키우는 믿음으로 신진과학자를 지원해 온 서경배과학재단은, 앞으로도 과학이 만들어갈 더 나은 세상을 위해 함께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생명과학 연구 성과 소통" 서경배과학재단 'SUHF 심포지엄 2025' 개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