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윤진웅·심지원 기자] 영풍이 SM엔터테인먼트 주가조작 사건 관련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에 대한 수사를 촉구하고 나선 가운데 고려아연은 "경영권 분쟁과 맞물린 의도적 공세"라고 맞섰다.
영풍은 1일 입장문을 내고 "SM엔터 주가조작의 실질적 자금줄 역할을 한 최윤범 회장과 박기덕 대표에 대한 조사가 즉각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영풍은 고려아연이 원아시아파트너스의 '하바나1호 사모펀드'에 단독으로 1016억원을 출자한 점을 문제 삼고 있다.
이 펀드 출자금은 2023년 2월 SM엔터 주식 대량 매입에 쓰인 것으로 의심되고 있으며, 검찰은 이를 "공개매수 저지를 위한 장내매수형 시세조종"으로 판단했다.
사실상 단독 펀드였던 만큼 최 회장이 자금 집행의 실질적 결정권자였다는 게 영풍 측 주장이다.
영풍은 또 최 회장이 지창배 원아시아 대표와 중학교 동창으로 친분이 있고, 2023년 3월 카카오 김범수 의장과의 자리에서 "배재현 책임이 훌륭한 일을 했다"고 언급했다는 증언도 공모 의혹을 뒷받침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검찰은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전 의장과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 등을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기소하고 각각 징역 15년, 12년을 구형했다. 이들은 하이브의 SM엔터 공개매수를 막기 위해 주가를 공개매수가(12만원) 이상으로 유지한 혐의를 받는다.
영풍은 "펀드 정관 변경과 자금 집행이 대표이사 승인 없이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며 "최 회장의 사전 인지·승인 가능성이 높고, 이는 자본시장법 위반이나 배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고려아연은 이러한 영풍의 SM엔터테인먼트 주가조작 연루설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미 충분한 설명과 소명을 통해 오해를 상당 부분 해소한 사안에 대해 영풍 측이 터무니 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고려아연은 영풍 측의 이번 문제 제기를 경영권 분쟁과 맞물린 의도적 공세라고 보고 있다. 검찰 구형 과정에서 고려아연과 관련되 내용이 거론되지 않았으며 펀드 관련 사안에 대해서도 충분한 소명이 이뤄졌다는 설명이다.
특히 고려아연은 과거부터 같은 의혹이 반복된 데 이어 검찰 구형 발표에 맞춰 비슷한 주장이 제기됐다는 점에서 고의성을 의심하고 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영풍이 이날 언급한 원아시아 출자 건 역시 이미 해명된 사안인데, 사실과 다른 내용을 마치 새로운 사실처럼 다시 보도자료로 냈다"고 밝혔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