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만의 시대, 여성의 이름으로 '애마' [강다윤의 프리뷰]

마이데일리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애마' 포스터/넷플릭스

[마이데일리 = 강다윤 기자] '야만의 시대', 두 여성의 생존과 연대의 서사다. 그 무엇보다 멋지고 아름다운.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애마'(극본 연출 이해영)는 1980년대 한국을 강타한 에로영화 탄생 과정 속, 화려한 스포트라이트에 가려진 어두운 현실에 용감하게 맞짱 뜨는 톱스타 '희란'(이하늬)과 신인 배우 '주애'(방효린)의 이야기. 영화 '천사장사 마돈나', '유령', '독전' 이해영 감독의 첫 시리즈 연출작이다.

당대 최고의 톱스타 희란은 노골적인 노출을 강요하는 시나리오를 거절하며 제작사 대표 구중호(진선규)와 충돌한다. 그 틈을 비집고 들어온 신예 주애는 신인감독 곽인우(조현철)의 눈에 띄어 '애마'라는 이름과 함께 스포트라이트의 중심에 선다. 서로의 경쟁자일 것만 같던 두 여성은, 결국 ‘야만의 시대’를 돌파하기 위한 연대자가 된다.

너무나도 유명한, 80년대 한국 에로영화의 아이콘 '애마부인' 제작기. 이를 둘러싼 충무로의 욕망과 그 시대의 야만성을 다룬다면 우려와 경계가 따를 수밖에 없다. 여성들의 서사와 연대를 껍데기로 두른 채, 알량한 방패 삼아 휘두를 것이라는. 하지만 안심해도 좋다. 그 점에서 '애마'는 아름답다.

레트로한 매력과 화려한 색감이 충무로가 영화의 중심이던 황금기를 수놓는다. 복고적 미장센과 세련된 영상미가 어우러져 과거와 현재의 거리를 부드럽게 잇는다. 동시에 당시 영화판을 둘러싼 추악한 권력자들, 모순적인 검열 제도와 부조리한 제작현장이 촘촘히 그려진다. 이를 마냥 무겁게만 그리지 않고 풍자와 유머로 웃음까지 안긴다.

이 모든 것들은 희란과 주애의 이야기를 풀어내기 위해 존재한다. '새로운 시대'이지만 결국은 '벗기려는 시대'이던 1980년대. 화려한 조명 속에서 자신을 지키려던 두 사람은 결국 나란히 선다. '손을 잡았다'로 끝나는 뻔한 말이 아니다. 시대가 여성을 소비하던 때, 생존법이자 돌파구다. 그 연대의 끝이 영광스러운 승리도 천지개벽 같은 변화도 아니기에 더욱 그렇다. 당당히 '쌍X'이 되겠다 선언하지만, 이들이 바란 것은 더 이상 '쌍X'이 없는 시대일 것이다. 희란과 주애가 던진 메시지는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하늬는 시대와 맞서는 단단함을 품어 희란을 생생하게 숨 쉬게 하고, 신예 방효린은 날 것 같은 에너지와 당돌함으로 주애를 거침없이 빚어낸다. 그 대담한 매력이 팽팽하게 맞부딪히며 완성한 여성서사다. 재밌고, 화끈하며, 동시에 뭉클하다. 두 사람이 서로를 통해 견고한 세계에 균열을 내고, 유대감을 형성하는 워맨스는 '애마'를 지탱하는 가장 큰 힘이다.

진선규는 욕망과 야심 그 자체가 됐다. 열정적이지만 미숙한 조현철표 입봉 감독도 느낌 있다. '관식이'를 싹 지운 '징그러운' 박해준도 결코 잊을 수 없다. 여기에 '굴곡지고 치열한 싸움의 연속'이라면서도 영광을 말하는 안소영이 함께이기에, 2025년의 '애마'가 반짝인다.

8월 22일, 6부작 전편 공개. 청소년 관람불가.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야만의 시대, 여성의 이름으로 '애마' [강다윤의 프리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