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설사 원가율 91.3%, 수익성 '적신호'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국내 대형 건설사들이 올 상반기 수익성에 심각한 부담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매출 원가율이 91.3%에 달해 수익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22일 국내 시공능력평가 상위 9대 건설사가 제출한 반기 보고서 결과를 보면 공사를 수주해 100만원을 벌면 91만원 이상을 자재비와 인건비 등으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가율 91.3%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1.2%포인트 낮아졌다. 하지만 여전히 2010년대 후반 80%대에 머물던 수준과 비교하면 높은 수치다. 삼성물산(028260)은 건설부문 외 부문이 포함돼 통계에서 제외됐다.

특히 개별 기업별로는 포스코이앤씨의 원가율이 95.4%로 가장 높았다. 롯데건설(94.4%)과 현대건설(000720·93.5%), 현대엔지니어링(93.0%)도 90%를 웃돌았다. GS건설(006360)과 SK에코플랜트도 각각 90.7%로 비슷한 수준이다. 

상대적으로 원가율이 낮은 대우건설(047040·88.5%), DL이앤씨(375500·88.2%), HDC현대산업개발(294870·87.7%)도 80%대 후반에 머물러 수익성 확보에 고전하고 있다.

이처럼 원가율이 높아진 배경에는 최근 몇 년간 이어진 공사비 급등이 자리잡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까지 겹치며 주요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가 크게 올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건설 공사비 지수는 2020년 6월 99.35에서 2025년 6월 기준 131.07로 약 32% 가까이 상승했다.

이익이 줄어들자 건설사들은 재건축·재개발 현장을 중심으로 공사비 증액 협상을 본격화하고 있다. 

GS건설은 지난 4월, 서울 신반포지구 재건축 조합(메이플자이)과 788억원의 공사비 증액에 합의했다. 삼성물산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참여한 잠실 진주아파트 재건축(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현장도 올 1월 588억원의 증액 계약을 체결했다.

문제는 이러한 공사비 인상이 결국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수익성 방어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가 주택 수요자에게 부담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건설업계 전반에 걸쳐 악순환이 우려되고 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대형 건설사 원가율 91.3%, 수익성 '적신호'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