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어, 금호타이어 인력 영입 논란…'위기 틈타 빼가기' vs '공정 채용'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금호타이어의 연구·영업 인력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로 이동하면서 업계 논란이 거세다. 금호타이어는 "경영 위기 상황을 이용한 핵심 인력 빼가기"라고 반발하고, 한국타이어는 "절차에 따른 공개 채용"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호타이어 연구개발(R&D)·영업 인력 9명이 한국타이어로 이직했으며, 일부 임직원은 추가로 사직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경쟁사 간 인재 이동은 흔한 일이지만, 금호타이어가 지난 5월 광주공장 화재 이후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을 받는 등 경영상 큰 어려움에 놓인 상황에서 발생해 파장이 커졌다.

고용유지지원금 제도는 고용 조정이 불가피한 기업에 인건비 일부를 지원하는 대신, 일정 기간 신규 채용을 제한한다. 

이에 금호타이어는 인력 확보는 막힌 반면, 우수 인력이 빠져나가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회사 측은 "한국타이어가 직·간접적으로 채용 유인을 했다"는 정황이 있다며 내부 조사에 착수했고, 불공정 경쟁 여부에 따라 법적 대응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또한 최근 한국타이어에 이 같은 내용의 공문을 보내 부당 인력 채용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

반면, 한국타이어는 절차상 문제가 전혀 없다고 맞선다. 회사 측은 "모든 채용은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되며,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며 "앞으로도 건전한 채용 질서를 준수하겠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안이 단순 인재 이동을 넘어 기술 유출 분쟁으로 번질 가능성을 우려한다. 실제 해외에서도 경쟁사 이직 과정에서 영업비밀 침해 소송으로 비화한 사례가 적지 않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미 관세, 중국의 추격 등 대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내부 소모전은 산업 전체 경쟁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며 "기업 간 최소한의 인력 이동 룰을 정하고, 공동 연구나 표준화 협력 같은 상생 카드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금호타이어와 한국타이어의 인재 영입 갈등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8년에도 금호타이어 연구원 30여 명이 헤드헌팅 회사를 통해 한국타이어로 이직 제안을 받으면서 '연구 인력 빼가기' 논란이 불거졌고, 당시에도 상도의 논란과 기술 유출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국타이어, 금호타이어 인력 영입 논란…'위기 틈타 빼가기' vs '공정 채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