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이재명 대통령은 21일 빌 게이츠 빌 게이츠재단 이사장을 만나 "저도 매일 쓰는 윈도우를 개발해 모든 세상 사람들이 창문을 통해 세상을 볼 수 있게 됐다"며 "세상 사람들이 모두 창문을 갖게 됐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게이츠 이사장을 만나 "이제는 백신 개발이나 또는 친환경 시설 개발로 인류를 위한 새로운 공공재 개발에 나섰는데 존경스럽다"며 "지구와 지구인 전체를 위한 그런 공공적 활동에 대해 경의를 표하고, 대한민국 정부도 함께할 방법을 최대한 찾아보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에 게이츠 이사장은 "행정부 초기에 대통령을 만나게 돼 기쁘게 생각하고, 대통령의 기본적인 배경에 대해 굉장히 경의를 표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게이츠 이사장은 "전 세계가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지정학적인 변화도 있었고, AI와 같은 기술적인 변화도 있었는데 지금이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며 "현재의 전략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한국이 이러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는 큰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게이츠 이사장은 "저희 재단이 올해로 25주년이 됐는데 이를 기념해 저는 제가 가진 모든 재산, 그리고 저희 재단이 가진 모든 기금 약 2000억 달러를 앞으로 20년 안에 모두 사용할 것"이라며 "주로 전 세계 보건 분야에 초첨을 맞추게 될 것"이라고 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2000년 이후 세계 보건의 진전에 대해 언급한 후 특히 역사상 아동 사망의 숫자가 크게 준 것에 대해 강조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당시 2000년에 5세 이하 아동의 연간 사망자 수는 1000만명이었지만 현재 500만명 이하로 줄어든 상황"이라며 "저희는 앞으로 20년 동안 이 숫자를 연간 200만명이하로 줄이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있다. 지금보다 80% 줄어드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게이츠 이사장은 "한국이 이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한국의 혁신적인 제품을 통해서 가능하다. 한국의 바이오사이언스 제품들은 경이로운 수준"이라며 "IVI, 즉 국제백신연구소의 연구부터 시작해 SD바이오, SK, LG, 유바이오로지스까지 10년 전까지만 해도 굉장히 작았던 한국의 이 산업들이 너무나 크고 중요한 산업으로 발전을 했다. 저는 이런 기업들의 제품을 사용하고, 직접 다룰 기회가 많이 있엉ㅆ는데 특히 코로나 백신이 진단 기기 등이 좋은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끝으로 게이츠 이사장은 "세계 보건 분야 활동에 대해 두 가지 굉장히 중요한 활동이 2000년대부터 있었다"며 "백신 기금인 '가비'가 아이들을 위한 백신을 구입해 많은 기여를 했고, 글로벌 펀드가 HIV, 말라리아 그리고 결핵 이 세 가지 질병에 대해서 많은 기여를 통해 아동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었고, 이런 다자 기구들의 역할이 컸다"고 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