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을 엿새 앞둔 19일 재계 총수들과 만나 ‘원팀 결의’를 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관세 세부 협상이 한국 경제의 향방을 좌우할 수 있는 만큼, 정부와 기업이 엇박자 없이 움직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순방에 동행하는 경제단체장과 주요 그룹 총수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등이 참석해 사실상 재계 전반이 총출동했다.
이번 만남은 관세 세부협상을 염두에 둔 자리였다. 한국 정부는 지난달 말 타결된 협상에서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는 대신 일본·유럽연합(EU)과 같은 수준인 15% 상호관세율을 관철했다. 대기업들의 투자 약속이 결정적 지렛대 역할을 한 만큼, 이 대통령은 기업들의 지원에 감사를 전하고 남은 협상에서도 끝까지 힘을 보태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간담회에는 반도체, 자동차, 조선, 방산, 바이오, 에너지 등 대미 협상과 직결된 핵심 산업 분야 기업인들이 대거 참석했다. 재계는 향후 투자 과정에서 예상되는 애로사항을 전달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에도 삼성, SK, 현대차, LG, 한화 등 주요 그룹 총수들을 잇따라 만나 관세협상 전략을 공유하며 지원을 당부한 바 있다.
대통령실은 이번 회동이 취임 이후 꾸준히 이어온 재계와의 소통 행보의 연장선에 있다고 설명했다. 국제통상 질서가 급변하고 비상계엄의 여파로 경제가 위축된 상황에서, 기업과 정부가 ‘원팀’으로 나서야 한국 경제가 다시 도약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 대통령은 관세 문제와 더불어 안보 의제 준비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미국의 ‘동맹 현대화’ 요구에 대응하면서도 한반도 안보가 흔들리지 않도록 해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을 주미대사로, 이혁 전 주베트남 대사를 주일대사로 내정해 외교라인 정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이 관세와 안보라는 두 축에서 한국의 미래를 가르는 분수령이 될 수 있는 만큼, 정부와 재계가 ‘원팀’으로 나아가는 행보는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