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정소현 기자 국회도서관(관장 황정근)은 13일 ‘기록으로 보는 이야기: 임시의정원 기록’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해 국회기록보존소 홈페이지 등을 통해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국회도서관은 시의성 있는 사회적 이슈를 선정하고, 관련 의정활동 기록 정보를 활용해 ‘기록으로 보는 이야기’ 시리즈 동영상을 제작하고 있다.
이번 동영상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 기획 콘텐츠로 국회도서관이 소장한 임시의정원 기록물 중 주요 기록을 선정하여 직접 촬영·제작했으며, 대한민국 국회의 뿌리이자 독립을 위해 투쟁한 임시의정원의 생생한 기록들을 통해 그 역할과 의의를 재조명했다.
동영상은 3.1 운동 후 상해에서 탄생한 임시의정원의 형성과 활동, 광복 후 국가 체제의 계승을 주요 내용으로 구성하고, 임시의정원이 입법기관으로서 임시정부가 수행하는 국정 전반에 관여한 것에 주목했다.

특히, 임시의정원이 당시로서는 선구적으로 남녀평등 원칙을 확립해 여성의 의원직 참여를 보장했고, 다섯 차례의 개헌을 통해 지속적으로 체제를 개선했으며, 한국광복군의 자주권 회복을 위한 제의 및 선전포고 가결 등 열악한 상황에서도 민주주의 정신과 독립을 향한 의지를 실현했음을 강조했다.
아울러 임시의정원이 광복 후 비상국민회의와 국민의회를 거쳐 1948년 대한민국 국회로 계승된 과정을 언급하며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민주주의의 뿌리가 임시의정원의 정신에서 비롯되었음을 상기시켰다.
주요 기록물로는 △임시의정원법(1919) △임시의정원 비서국 처무규정(1919) △임시의정원 기록에 관한 규정(1920) △결산안 제출의 건(1930) △대한민국 임시헌장 개정안 본문(1943) 등이 있으며, 광복 직후 개최된 마지막 회의의 기록인 △제삼십구차 의회 속기록(1945)도 소개된다.
정정화 국회기록보존소장은 “이번 콘텐츠는 독립운동가들의 치열한 노력과 헌신이 오늘날 민주주의의 토대가 되었음을 보여주는 귀중한 기록”이라며, “광복 80주년을 맞아 임시의정원의 역사적 가치와 의의를 되새기는 뜻깊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