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5년째 ‘택배 없는 날’ 앞두고…노동‧시민단체 vs 쿠팡, 올해도 ‘강제 휴식’ 공방”입니다. 쿠팡의 ‘택배 없는 날’ 동참을 둘러싼 노동‧시민단체의 주장과 쿠팡 측의 반박 등 양측의 공방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
![]() |
▲서울의 한 쿠팡 차고지에 배달차량이 주차돼 있는 모습. /뉴스밸런스 송재우 기자 |
하지만 쿠팡은 이에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밝히지 않은 가운데 쿠팡 내 일부 구성원들도 ’택배 없는 날‘ 동참에 반대하고 있다. 강제 휴무가 되레 택배기사의 자율적인 휴가를 막아 수입 감소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일괄 휴무로 이후 업무가 가중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쿠팡의 직고용 직원들로 구성된 ’쿠팡 친구(쿠친)‘는 지난 4일 기자회견을 열고 “’택배 없는 날‘이 업무 부담으로 돌아와 ’택배 많은 날‘이 될까 두렵다”면서 “’택배 없는 날‘ 동참을 반대했다. 쿠팡의 경우 위탁 배송 기사의 휴무로 인해 생기는 업무 공백을, 쿠친을 통해 메우는 형식으로 운영되기 때문.
쿠친은 ”대선 당일 택배 업무를 중단했을 때도 현장에 나와 배송 이외의 업무들을 진행했고 이후에도 많은 물량을 배송해야 했다“라며 ”퀵플렉서(위탁 배송 기사)들도 편한 자가 생기면 힘든 자가 생기는 구조를 당연시하지 말라“라고 강조했다.
쿠팡의 위탁 배송 기사들로 구성된 쿠팡 파트너스 연합회(CPA)도 지난 7일 기자회견을 열고 ’택배 없는 날‘ 동참 반대에 목소리를 더했다. 다만 반대 원인은 상반된다. 이들은 ’택배 없는 날‘ 강제로 휴무할 경우 자유로운 휴무 사용을 막고 이 같은 조처가 수입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자리에서 한 퀵플렉서는 ”퀵플렉서들은 부담 없는 휴가 사용과 언제 쉬어도 일정한 수입이 보장되는 쿠팡의 시스템을 믿고 배송 업무를 하고 있다“면서 ”지난 대선일 강제 휴무는 계획된 휴무 일정에 차질을 빚고 하루 수입을 통째로 날린 ’택배 빼앗긴 날‘이었다“고 주장했다.
회사 측도 목소리를 냈다.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지난 11일 보도자료를 통해 매일 전체 위탁배송업체 택배기사 중 휴무를 취하는 기사 비율이 30% 이상에 달하고, 그 수가 6000명 이상이라고 밝혔다. CLS 측은 평일, 주말 무관하게 전체 위탁배송기사 3명 중 1명은 휴무를 취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했다.
CLS는 위탁배송업체가 계약 단계부터 백업 기사를 확보해야 위탁이 가능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LS 자체 배송인력(쿠팡친구) 배송 지원 등을 통해 백업기사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안착시켰다고 강조했다.
실제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가 주요 택배사 소속 택배기사 1,203명을 대상으로 ‘주 5일 이하 업무’ 응답 비율을 물은 결과 CLS 택배기사의 62%가 주 5일 이하 근무한다고 답했다. 이후 순위는 컬리(5.0%), 롯데택배(4.0%), 한진택배(1.5%), CJ대한통운(1.5), 로젠택배(1.0%) 등의 순이었다.
CLS 관계자는 “CLS만의 백업기사 시스템을 바탕으로 위탁배송업체들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자유로운 휴무가 가능한 업무 여건을 정착시켜 나가고 있다”며 “CLS는 매일 매일이 ‘택배 쉬는 날’인 셈”이라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