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시황] 뉴욕증시, 애플 중심 기술주 강세…나스닥 사상 최고치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했다. 애플을 중심으로 반도체주가 강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현지 시간으로 8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6.97p(0.47%) 오른 4만4175.61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는 49.45p(0.78%) 늘어난 6389.45에 마감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07.32p(0.98%) 뛴 2만1450.02에 장을 마쳤다.

나스닥은 이날 상승으로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 이로써 나스닥은 올해 들어 18번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웠다. 연초 대비 약 11% 상승했다. S&P500 역시 사상 최고 마감가에 근접했다.

이날 뉴욕증시의 강세장을 이끈 것은 애플이었다. 애플은 지난 6일 미국에 1000억달러(약 140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강세 흐름을 지속하며 이날도 4.24% 급등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하되 미국 내에서 제조하는 기업에는 예외를 두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번 애플의 추가 투자로 애플의 반도체 관세가 면제되자 투자 심리는 대폭 개선됐다.

이에 반도체에 대한 불확실성이 걷혔다는 평가도 나오면서 기술주들도 강세 흐름을 보였다.

애플을 포함해 엔비디아(1.07%), 마이크로소프트(0.23%), 메타(0.98%), 알파벳(2.49%), 테슬라(2.29%) 등이 모두 강세를 나타냈다. 반면 아마존은 0.20% 하락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새 이사에 '트럼프 충성파'인 스티븐 마이런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을 지명한 것도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을 높이며 투자 심리를 긍정적으로 돌리는 데 기여했다.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기업들은 크게 하락했다.

광고기술업체인 트레이드데스크는 3분기 매출 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과, 최고재무책임자(CFO) 교체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가 38% 급락했다.

언더아머는 3분기 실적 전망치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주가가 17% 급락했으며, 핀터레스트 역시 2분기 실적에 대한 실망감에 10% 급락했다.

국채금리는 일제히 상승했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 국채 금리는 전일 대비 4.1bp 상승한 4.285%를 기록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 금리는 2.8bp 오른 3.762%로 마감했다. 국채금리는 다음 주 발표되는 7월 소비자물가가 예상보다 높게 나올 가능성을 선반영하는 모습이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0.13% 하락, 6거래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국제유가는 미국과 러시아 간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체로 보합세를 나타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9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과 동일한 63.88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10월물 브렌트유는 전장 대비 0.16달러(0.24%) 오른 배럴당 66.59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44% 오른 7743.00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3% 뛴 5347.74를 기록했다.

영국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0.06% 내린 9095.73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 대비 0.12% 밀린 2만4162.86에 장을 마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해외시황] 뉴욕증시, 애플 중심 기술주 강세…나스닥 사상 최고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