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금융·고용·복지 상담시 공공마이데이터 활용이 가능해지면서 연계 정확도 향상, 상담 시간 단축, 지원 사각지대 해소가 이뤄질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행정안전부와 오는 11일부터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서민금융진흥원·신용회복위원회가 상담 시 행안부가 제공한 공공마이데이터를 통해 확보한 공공정보 21종을 우선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맞춤형 고용·복지 등 지원 정책을 연계하는 서비스다.
이전에는 정책서민금융·채무조정 상담직원이 주관적인 진술 등에 의존해 복합지원을 제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개선으로 정보 보유기관이 직접 확보한 객관적인 정보에 근거해 복합지원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관계기관들은 지난해 12월 '복합지원 1주년 성과 점검 및 고도화 방안'에서 올해 4분기 내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지난 3월에는 '복합지원 현장 운영 내실화 방안'을 통해 도입 시기를 올해 7월로 앞당기는 등 조속한 이행을 준비해 왔다.
고용·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복잡한 지원제도를 연계하는 상담직원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을 속도감 있게 도입해달라는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된 결과다.
정부는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으로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에서 크게 네가지 개선 사항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먼저 주관적 진술이 아닌 객관적인 행정정보를 통한 분석 결과에 기반해 상담이 진행되기에 연계의 정확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이에 고용·복지 등 분야로 연계 이후 지원 대상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또 서민금융·채무조정 상담직원이 21종의 정보를 한번에 조회할 수 있어 복합지원 상담 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기존에는 본인이 지원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모르거나 상담직원이 정보 부족으로 인지하지 못했었던 지원 정책도 21종 정보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추천된다.
마지막으로 복합지원 대상자 선별 기준이 표준화돼 언제·어디서·누구에게 상담을 받든 양질의 맞춤형 복합지원 서비스를 똑같이 누릴 수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향후에도 타 부처 협업을 통한 신규 복합지원 연계 분야를 지속 발굴·확대해 신규 서비스의 활용을 극대화 및 고도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는 27일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현장에 방문해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을 직접 이용해 본 고객·상담직원의 의견을 청취하고, 추가 개선 필요 사항을 발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