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정부의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 등 각종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눈에 띄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부가 금융권의 이자 장사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자, 은행들은 중소기업 등 기업금융 확대에 나서는 분위기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7월 말 기준 758조9734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4조1386억원 증가했다.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지난 3월(1조7992억원)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 6월(6조7536억원)과 비교해도 38.7% 축소됐다.
특히 신용대출이 지난 3월 이후 4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지난달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103조9687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4334억원 줄었다.
업계에서는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에 대해 고강도 대출 규제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확대 시행의 효과가 점차 나타난 결과로 분석한다.
가계대출 증가폭이 둔화한 가운데, 기업대출은 큰 폭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권 이자장사를 지적한 데 따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금융권을 향해 "손쉬운 주택담보대출 같은 이자놀이, 이자 수익이 아닌 투자 확대에 신경 써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지난 27일 금융권 협회장들을 긴급 소집해 벤처기업 투자와 소상공인 금융지원 확대 등 '생산적 금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같은 압박에 은행권 중소기업·자영업자 등 기업금융이 지속 확대될 것이라는 게 금융권 내 관측이다.
실제 5대 시중은행의 개인사업자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324조7530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6644억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약 1년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340조9330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9348억원 증가했다. 반면 대기업대출 잔액은 같은 기간 7222억원 줄어든 164조9294억원으로 집계됐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