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삼성전자는 31일, 연결기준 올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74조5,633억원, 4조6,76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67%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5.23% 줄었다.
2분기 영업이익 실적 저조는 ‘반도체 사업’ 부진에 있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핵심 품목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사업 부진, 파운드리 수주 난항 등으로 2조원 이상의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2분기 영업이익 급감은 인공지능(AI) 반도체 핵심 부품으로 수요가 대폭 늘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에서 크게 부진하고, 고객사 수주 난항을 겪었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부에서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삼성전자 실적 공시에 따르면 2분기 반도체 사업부인 DS부문 매출은 27조9,000억원, 영업이익은 4,00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의 경우 서버용 고부가 메모리 제품과 파운드리 주요 거래선에 대한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11%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메모리 사업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과 비메모리 사업 대중 제재 등 영향으로 같은 기간 8,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94% 가량 뚝 떨어졌다.
스마트폰, TV사업을 담당하는 DX부문도 실적 부진을 겪었다. 2분기 DX부문 매출과 영업이익은 43조6,000억원, 3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효과 감소와 TV 시장의 경쟁 심화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6%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조4,000억원 줄었다.
삼성전자는 31일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2분기 HBM 판매량은 전 분기와 대비해선 30% 이상 성장했고, 신형 제품인 HBM3E 비중도 80% 후반으로 확대됐다”며 “하반기엔 HBM3E의 비중이 90% 후반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HBM4도 10나노급 6세대 공정의 양산 전환 승인도 완료된 상태”라고 향후 HBM 사업 전망을 밝혔다.
이어 “갤럭시 Z 폴드7의 초기 판매량은 긍정적으로 목표 판매치에 부합했다”며 “전년 대비 두자릿수 이상 성장 목표로 강력한 모멘텀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프리미엄 스마트폰 사업 계획을 설명했다.
이어 모바일AP 사업과 관련해선 “엑시노스 2500은 새 폴더블폰 모델의 신규 진입을 성공했고 신규 모델 추가 진입도 추진 중”이라며 “엑시노스 2600은 GAA 공정 2나노 기반 최초 제품이며 전작 대비 큰 폭으로 NPU 성능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