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쎈충남] 김태흠 충남지사, 수해현장 찾아 자원봉사자 격려·이재민 위로

프라임경제
■ 김태흠 충남지사, 수해현장 찾아 자원봉사자 격려·이재민 위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찾아가는 신청' 확대…취약계층 지원 박차



[프라임경제]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해외 출장 복귀 후 첫 일정으로 수해 피해 복구 현장을 방문해 자원봉사자들을 격려하고 이재민들을 위로했다.

김 지사는 30일 최재구 예산군수, 신동헌 도 자치안전실장, 김범수 아산부시장 등과 함께 △예산군 삽교읍 하포리 자원봉사 현장 △예산 덕산천 제방 유실 현장 △아산 음봉천 유실지 및 침수 피해 지역 △아산 곡교1리 마을회관을 잇달아 방문했다.

예산군은 이번 집중호우로 도내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으로, 29일 오후 6시 기준 피해액은 약 81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486세대 765명이 일시 대피했고, 이 중 148세대 207명은 아직 귀가하지 못한 상태다.


삽교읍 하포리는 지난 18일 제방 유실로 농경지 517헥타, 주택 47동, 비닐하우스 80동이 침수됐다. 현재까지 146곳에서 3000여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복구에 참여했으며, 주택 41동(89%), 비닐하우스 24동(35%)의 응급복구가 완료됐다.

덕산천 제방 유실 구간은 덕산면 상가리 등 3개 마을에 걸쳐 전석, 블록, 돌망태, 토공 등 다양한 구조물이 무너졌고, 농경지와 가옥 침수 피해가 뒤따랐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현장에서 "폭염 속에서도 묵묵히 봉사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봉사자 안전관리와 복지 지원에도 더욱 신경 쓰겠다"고 말했다. 이어 "응급복구 후에도 집중호우에 대비한 예찰을 강화하고, 덕산천에는 근본적인 개선복구사업을 건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방문한 아산시는 29일 기준 416억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280세대 525명이 대피했고, 현재 42세대 63명이 귀가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음봉천은 곡교천 수위 상승으로 제방이 유실되면서 인근 염치읍의 농경지 292헥타, 주택 209동이 침수됐다. 수위 문제로 복구가 지연되다 지난 26일부터 본격적인 장비 투입이 시작됐다.

김 지사는 곡교1리 마을회관에 마련된 임시대피소도 찾아 이재민들의 고충을 청취하고 위로를 전했다.

충남도는 현재 임시대피소에 생필품, 식료품, 방역물품 등을 즉시 지원하고 있으며, 공무원과 보건소 직원을 배치해 위생과 방역을 책임지고 있다.

김 지사는 "도민의 심리 회복을 위해 상담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며 "귀가 전까지 불편함이 없도록 숙소 등 임시거주시설 운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찾아가는 신청' 확대…취약계층 지원 박차


충청남도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어려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를 집중 운영하며 시군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사각지대 해소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30일 0시 기준, 도는 전체 지급 대상자 212만6884명 중 184만7950명(86.9%)에게 소비쿠폰을 지급 완료했다. 특히, 기초생활수급자 81.8%, 차상위 및 한부모 가정 83.7%가 수령을 마치며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도는 고령층이나 정보 접근이 어려운 주민이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복지관, 방문복지팀 등을 활용해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각 시군도 지역 여건에 맞춘 '현장 밀착형 신청 창구'를 설치·운영하며 대상자 발굴과 지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

또한 이사, 자격 변동 등으로 지급 대상에서 누락되거나 불편을 겪는 사례에도 적극 대응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접수된 이의신청 중 94.5%를 처리 완료했다. 나머지 건에 대해서도 신속한 검토와 지급 절차가 이어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디지털 기기나 행정 정보에 취약한 도민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현장에 먼저 다가가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도민 누구 하나 소외되지 않도록 모든 시군과 함께 촘촘한 신청 지원망을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힘쎈충남] 김태흠 충남지사, 수해현장 찾아 자원봉사자 격려·이재민 위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