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7월 중순, 담양은 물과 싸우는 나날을 보냈다. 평균 538mm, 최대 615mm에 달하는 기록적인 폭우는 짧은 시간에 마을과 농지를 물에 잠기게 했다. 주택 255동이 침수되고, 농경지 360헥타르가 피해를 입었으며 공공시설 150곳 이상이 파손됐다.
집계된 재산 피해는 약 173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다행스러운 점은 있었다. 비가 쏟아지던 위기 속에서도 단 한 건의 인명 피해 없이 상황이 지나갔다. 사전 예보에 따른 신속한 대처, 주민 대피, 마을 방송과 문자 발송 등 유기적인 대응 체계가 작동한 결과다.
정부는 7월22일 담양군을 포함한 6개 시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하고 신속 지원체를 가동했다.
이 조치는 단순한 선언이 아니다. 공공시설 복구에 들어가는 비용의 최대 70%를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고, 주민들은 세금 감면과 공공요금 납부 유예 등 실질적인 부담 경감을 받게 된다. 무너진 일상을 다시 세울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갖춰진 것이다.
폭우가 완전히 그치기도 전인 7월18일부터 본격적인 복구 작업이 시작됐다. 7월29일까지 약 230개 피해 현장에 4800명이 넘는 봉사 인력이 구슬땀을 흘렸다. 각 기관과 단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섰고, 자원봉사자에게는 왕복 교통비 무료 지원도 이어졌다.
정부는 응급 복구를 위해 10억원의 특별교부세를 긴급 지원했고, 주민들에 대한 지방세 감면과 피해 보상 절차도 신속히 진행되고 있다. 여러 기업들도 기부와 물품 지원에 나서며 복구에 힘을 보태고 있다.
하지만 특별재난지역 지정은 회복의 출발점일 뿐이다. 이번 폭우는 단순한 기상 이변이 아닌, 기후 위기의 한 단면이라는 점에서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반복되는 이상 기후에 대비하지 않으면 담양은 또다시 같은 고통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
담양군의회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예방 중심의 제도 정비와 정책 보완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하천과 배수시설 정비, 산사태 취약지 관리, 주민 재난 대응 교육 등 사전 예방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행정안전부가 매년 발표하는 재해복구사업 실무지침도 담양 실정에 맞게 반영하도록 제도 개선을 촉구할 계획이다.
또한 군의회는 복구 사업과 예산 집행 과정에서 투명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감시와 지원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단지 복구만이 아닌, 같은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울타리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장명영 담양군의회 의장은 "이번 특별재난지역 지정이 단순한 혜택에 그치지 않고, 군민 일상을 다시 세우는 기반이 되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현장을 중심으로 한 의정 활동을 멈추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장 의장은 이어 "이번 폭우는 담양의 취약함을 드러냈지만, 동시에 담양이 어떻게 위기를 이겨낼 수 있는지도 보여줬다. 진정한 회복은 다시 비가 내릴 때, 같은 고통을 반복하지 않는 데 있다. 이제는 피해 이후를 넘어, 다음을 준비할 시간이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