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경남도가 밀양·창녕·하동 3개 지역이 '기회발전특구'로 추가 지정되면서 △첨단소재 △미래모빌리티 △이차전지 산업을 포괄하는 첨단 산업벨트 조성에 본격 착수했다.

이번 지정으로 경남은 2024년 고성·통영·창원 지정에 이어 전국 최초로 기회발전특구 도 단위 상한면적(660만㎡, 200만평)을 100% 달성했다.
경남도는 특구 지정을 위해 기본계획 수립, 관계부처 협의, 현장 컨설팅, 지방시대위원회 심의 등 약 7개월간의 절차를 거쳐 밀양·창녕·하동 지역을 최종 확정했다.
이번 특구에는 앵커기업 6개사, 협력기업 30개사 등 총 36개 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총 1조5764억원 투자와 1797명의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
이에 따라 △밀양 ㈜한국카본 등 3개 앵커기업과 10개 협력기업,투자 2797억원, 고용 823명 △창녕 ㈜유림테크 등 2개 앵커기업과 15개 협력기업, 투자 4485억원, 고용 390명 △하동 ㈜엘앤에프 등 1개 앵커기업과 5개 협력기업, 투자 8482억원, 고용 584명이 예상된다.
경남도는 도내 산업단지 실태조사, 입주의향 기업 수요조사, 기반시설 확충 계획 등 사전 준비와 함께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산업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여 특구 계획을 수립했다.
△밀양은 나노복합소재 및 수소부품 중심의 미래 첨단소재·부품 지구 △창녕은 친환경 전기차·항공기용 부품 중심의 미래모빌리티 소재·부품 지구 △하동은 수산화리튬 및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중심의 이차전지 모빌리티 소재 지구다.
입주기업에는 소득세·법인세 5년 100%, 추가 2년 50% 감면, 취득세 50% 감면, 재산세 5년간 75% 감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비율 최대 10% 가산과 국비 보조금 최대 200억원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특히 경남도는 전력·가스·용수 등 기반시설 확충, 교육발전특구 연계를 통한 인재양성, 청년주거와 정주 인프라 구축 등 전 주기적 기업지원 체계를 갖춘다는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향후 기회발전특구 지정 상한면적 확대를 위해 산업부, 지방시대위원회 등에 지속적으로 건의할 계획이다.
경남도는 "이번 3차 특구 지정을 통해 경남은 전국 최초로 200만평 지정 목표를 달성했다"며 "첨단산업 중심의 기회발전특구를 통해 지역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양질의 일자리와 청년 인재 유입을 촉진해 지속가능한 균형성장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기회발전특구는 지방 이전기업과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세제 감면, 규제 완화, 재정 지원, 정주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제도로, 특구 내 창업·이전 기업은 최대 7년간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