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세종특별자치시 최민호 시장이 29일(현지시간) 크로아티아 스플리트시를 방문해 스마트시티·정원도시 사례를 공유하며, 기술 기반 미래도시로의 전환을 제안했다.

최 시장은 이날 스플리트 테크놀로지파크에서 고란 바티니치 도시개발공사 소장 등 스마트시티 관계자 50여 명을 대상으로 특별 강연을 진행하며 "관광이 스플리트시의 과거였다면, 기술은 미래이며, 대한민국의 과거가 서울이었다면 미래는 세종"이라고 강조했다.
스플리트시는 지난해부터 관광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미래 산업으로의 전환을 꾀하며, 테크놀로지파크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와 3D 기술 기반 창업 생태계 조성에 나서고 있다. 이번 강연은 세종시의 선진 스마트시티 사례를 벤치마킹하려는 스플리트시의 요청에 따라 성사됐다.
최민호 시장은 세종시가 행정수도, 한글문화도시, 박물관도시, 스마트시티, 정원도시 등 5대 비전을 중심으로 빠른 성장을 이뤘다고 설명했다. 특히,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지정된 세종시는 AI,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등 첨단 기술을 실증·적용하며 미래 도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관광산업의 수익 한계를 극복하려면 AI, 양자, 바이오 등 미래 핵심 기술 산업을 육성해 부가가치 높은 산업을 유치해야 한다"며 "기술과 자연이 공존하는 순환형 도시 모델이야말로 스마트시티의 완성"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미르나 이브코비치 스플리트 도시개발공사 스마트시티 자문위원은 "세종시는 도시화의 이상적인 모델"이라며 "계획적인 도시 구조와 첨단 기술 기반의 발전 전략은 앞으로의 도시들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고 호평했다.
시는 이번 독일·크로아티아 방문을 통해 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를 널리 알리고, 행정수도 세종의 위상을 유럽 도시에 알리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