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해양수산부 극지연구소와 한화오션은 29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해운협회 대회의실에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2029년 12월까지 쇄빙능력시험을 포함한 건조를 완료하고 우리나라 극지 연구 임무를 수행한다.

계약식에는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 신형철 극지연구소 소장, 최동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기후솔루션연구본부장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전재수 장관은 축사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우리 기술력으로 건조될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과학연구와 자원협력 등 북극 협력을 촉진할 인프라”라며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시작으로 북극항로의 지속 가능한 이용과 안전한 운항에 필요한 인프라와 실측 기반 데이터를 꾸준히 쌓아가겠다”고 말했다.
김희철 대표이사는 건조사에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은 단순한 극지연구를 넘어 중장기적 국익이 걸린 중대 현안”이라며 “한화오션은 이번 사업을 통해 국가의 미래와 인류 번영에 기여하는 여정에 동참하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화오션이 가진 모든 역량을 동원해 감동을 주는 결과물을 도출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2009년 첫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건조해 독자적으로 남·북극해 연구를 수행해왔다. 그러나 극지방 환경 변화에 따른 연구범위 확대와 친환경 규제 강화로 후속 쇄빙연구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이번 계약 체결로 우리나라 북극 진출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밝혔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총 톤수 1만6560톤으로 아라온호(7507톤)의 두 배가 넘는다. LNG 이중연료 전기추진체계가 탑재되며, 1.5m 두께 얼음을 깨고 나아갈 수 있는 양방향 쇄빙 능력과 영하 45도의 내한 성능을 갖췄다. 선실, 응접실, 식당 등은 최고급 여객선 수준의 안락함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한화오션은 차세대 쇄빙연구선이 극지 연구를 한 단계 끌어올릴 최첨단 연구선이자 친환경 연구선이 될 것으로 자부한다. 한화오션은 이번 건조 사업과 함께 쇄빙선 분야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이는 북극해 해양 패권 경쟁에서 미국이 극지 전략적 가치를 강조하는 기조와 연관된다.
한화오션 특수선사업부 김호중 상무는 “신항로 개척과 자원개발 등 극지가 가진 잠재력을 선점하는 수단이 쇄빙선”이라며 “한화오션은 미국과 협력해 쇄빙선 분야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