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SK텔레콤이 오픈소스 커뮤니티 허깅페이스에 자체 개발한 초거대 언어모델 ‘A.X 3.1’을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340억개(34B)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한 모델로, SKT는 기획부터 학습까지 전 과정을 독자 수행했다.
이번 공개로 SKT는 프롬 스크래치 방식의 A.X 3.1 모델 2종(표준·경량형)과 대규모 학습 기반의 A.X 4.0 모델 2종까지 총 4개 모델을 오픈소스화했다. 모두 학술 및 상업 목적의 자유로운 활용이 가능하다.
A.X 3.1은 한국어 특화 벤치마크인 KMMLU와 CLIcK 평가에서 각각 A.X 4.0 대비 88%, 90%의 성능을 기록했다. 적은 파라미터로도 높은 효율을 구현해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 적용이 가능하다.
SKT는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 풀스택 AI 생태계 구성을 목표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했다. 크래프톤, 포티투닷, 리벨리온, 서울대·KAIST 연구진 등 주요 기업·학계가 함께 한다.
SKT 관계자는 “텍스트·음성·이미지·영상 등 멀티모달을 넘어선 옴니모달 AI 개발과 신규 모델 구조 연구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며 “국가대표 AI로서의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