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이보라 기자] 앞으로 은행·IT 등 민간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아 이용할 수 있다.
23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번 개방으로 삼성 스마트폰에서는 KB스타뱅킹, 네이버, NH올원뱅크, 토스, 카카오뱅크 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아이폰은 새로 개방된 앱 중 카카오뱅크 앱, 토스 앱에서만 발급 사용이 가능하다.
그동안 국가 신분증으로서 법적 효력을 갖는 모바일 신분증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과 지난해 개방한 삼성월렛에서만 이용할 수 있었다.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사업은 지난해 모집 공고를 통해 참여 사업자를 선정했고, 각 참여 사업자는 개발 지침 등에 따라 구축했다.
행안부는 엄격한 보안, 품질, 성능 평가를 위해 작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및 금융보안원과 '모바일 신분증 민간 개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각 참여사업자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바 있다.
모바일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외국인등록증,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등으로 분류된다. 주민센터, 면허시험장 등에서 발급받은 실물 IC 신분증을 스마트폰에 인식해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국가신분증으로서 법적 효력을 갖는다.
온라인 비대면 환경에서도 정확한 신원 확인이 가능하다. 이용자의 단말기 보안 영역에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고, 중앙 서버에는 별도 저장되지 않아 데이터 센터가 해킹되더라도 신분증 정보 유출 없이 안전하게 보호된다.
스마트폰을 분실하거나 도난당해도 지문, 안면 인식 등 생체인증 또는 6자리 앱 비밀번호 없이는 사용이 불가해 실물 신분증보다 도용 우려가 적다.
스마트폰이 없어진 경우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이나 모바일 신분증 콜센터, 각 통신사 콜센터로 신고하면 스마트폰에 발급된 모든 모바일 신분증이 중단된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