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인가 전 M&A 절차를 진행 중인 홈플러스가 낮은 실투자 비용으로 기업 지배권을 확보할 수 있는 인수 구조를 공개했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보통주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고 보유 중인 부동산 자산을 활용한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제 투입 자금 1조 원 미만으로도 지배권 확보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8일 홈플러스는 서울회생법원이 지정한 조사위원인 삼일회계법인이 제출한 보고서를 근거로 "홈플러스의 총 자산은 약 6조8500억원, 부채는 2조9000억원으로, 순자산은 4조원에 달한다"며 "홈플러스의 브랜드, 사업 지속 가능성, 보유 부동산 등을 반영한다면 전체 기업가치는 약 7조원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홈플러스는 "기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2조5000억원에 달하는 보통주 투자에 대해 일절 권리를 주장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새로운 인수자는 기존 지분 인수 부담 없이,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해 곧바로 지배권을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인수자는 홈플러스를 조사보고서상 청산가치인 약 3조7000억 원으로 인수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회생실무상 M&A 시 최소한 청산가치 이상으로는 기업가치가 정해져야 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론 기업가치의 절반가량인 3조3000억원 할인 효과를 얻게 되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홈플러스는 "인수자가 홈플러스의 기업가치를 3조7000억원으로 평가해 인수하면 전체 채권 규모인 약 2조9000억원보다 많아 채권자 동의 확보에 큰 무리가 없다"고도 했다.
또 하나 주목할 점은 홈플러스가 보유하고 있는 약 4조8000억원 규모의 부동산 자산이다.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활용할 경우, 일반적인 담보인정비율(LTV)을 적용하면 약 2조원 내외의 자금 차입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홈플러스는 "현재 홈플러스의 전체 부채 중, 즉시 상환이 요구되는 채권(매입채무 유동화 전단채, 메리츠 대출 등)은 약 2조5000억~2조7000억원 수준으로 집계된다. 이에 따라 인수자가 담보 차입 2조원을 조달하고, 나머지 부족분을 현금으로 보완한다면, 실제로 투입해야 할 자금은 1조원 이하로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우선주는 3조7000억원 범위 내에서 채권자들의 채권금액을 제외한 잔액으로 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