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위약금 면제 ‘기폭제’… 통신 유통가 ‘하반기 최대 격전’

마이데일리
서울 시내 한 휴대폰 판매점의 모습. /뉴시스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SK텔레콤이 위약금 면제라는 초강수 카드를 꺼내 들며 하반기 통신 유통 시장이 수년 만에 최대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통신 3사는 단통법 폐지와 플래그십 단말 출시까지 맞물리면서, 번호이동 수요 선점을 위한 마케팅 경쟁에 본격 돌입했다. 일부 유통 채널에선 불법 보조금 기류까지 감지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4일, 유심 해킹 피해에 대한 후속 조치로 4월 19일부터 7월 14일까지 약정 해지한 고객의 위약금을 전액 면제한다고 밝혔다. 공시지원금 반환과 선택약정 할인 반환금 모두 포함되며, 이미 위약금을 납부한 고객에게는 환급 절차도 진행된다. SK텔레콤은 이번 조치를 포함해 고객 보상과 보안 강화 등에 약 1조2000억원을 투입하겠다는 방침이다.

KT와 LG유플러스는 이 틈을 파고든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섰다. 서울 시내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몰에선 ‘SKT 위약금 전액 면제’ 문구가 앞다퉈 등장했고, 두 회사는 번호이동 고객 유치를 위한 보조금 프로모션도 대폭 강화했다. SK텔레콤 역시 이탈 방지를 위한 방어 전략에 들어갔다.

강변 테크노마트 등 주요 유통 현장에선 보조금 경쟁이 과열되는 조짐이 뚜렷하다. 갤럭시S25는 번호이동 조건으로 5만~15만원대에 판매되고 있고, 일부 아이폰 모델은 차비까지 제공되는 ‘마이너스폰’으로까지 등장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위약금 면제를 계기로 시장 전반의 보조금 수준이 크게 올라간 것은 사실”이라며 “주요 단말을 중심으로 경쟁이 한층 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경쟁의 정점은 이달 중순으로 전망된다. 14일 SK텔레콤의 위약금 면제가 종료되고, 15일에는 삼성전자의 갤럭시Z 플립7·폴드7 예약판매가 시작된다. 여기에 22일부터는 단통법이 폐지되며, 공시지원금 대비 추가지원금 15% 상한 규제가 사라진다. 단말 수요 확대와 규제 완화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보조금 경쟁이 정점을 찍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서울 시내 한 SKT 대리점의 모습. /뉴시스

시장 일각에서는 SK텔레콤의 점유율 붕괴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유심 해킹 사고 이후 SKT에서 이탈한 가입자가 70만명에 달하며, 6월 말 기준 점유율은 40%선이 무너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SKT가 위약금 면제를 통해 보상에 나섰지만, 고객 신뢰 회복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일부 대리점에서 ‘해킹은 인생 털리는 것’ 등의 문구를 내걸며 공포심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고객을 유도한 사례가 알려지며, SKT 마케팅 전략을 둘러싼 논란도 커지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보안 사고를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식은 소비자 정서에 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과열 양상에 대응해 현장 점검을 검토 중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단통법 폐지 이후에도 전기통신사업법상 부당한 차별 제공은 여전히 금지된다”며 “불법 보조금 정황이 포착되면 실태조사 등 추가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업계는 이달 중순부터 하반기 전체 유통 전략의 승부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단말기 할인 폭이 수십만원대로 확대되고, 번호이동 수요도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며 “하반기에는 과거 단통법 시행 초기 수준의 보조금 경쟁이 재현될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SKT, 위약금 면제 ‘기폭제’… 통신 유통가 ‘하반기 최대 격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