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시간으로 8일 새벽 1시부터 무역 상대국들에 상호관세의 세율이 적힌 서한을 순차적으로 보내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나는 전 세계 다양한 국가에 대한 관세 서한 또는 합의를 7월7일 월요일 오후 12시(미 동부시간)를 시작으로 전달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통상 상대국들에 대미 수출품의 관세율이 적힌 서한을 보내거나 협상 타결을 보는 것으로 9일까지 무역 협상을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상호관세 유예의 시한을 이틀 앞두고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주요 상대국들에 대한 압박 수위를 끌어올리는 전략으로 관측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보낼 서한에 품목별 관세를 비롯해 전반적인 협상의제에 대한 내용도 함께 들어갈지 여부 등 구체적 계획은 언급하지 않았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날 CNN 방송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을 진전시키지 않으면 8월 1일에 다시 (애초 상호관세 세율을 발표한) 4월 2일 관세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무역 정책에 반발하고 있는 비(非)서방 신흥경제국 연합체인 브릭스(BRICS)를 향해서도 재차 경고를 냈다.
브릭스는 러시아, 중국,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 신흥국들의 경제협력을 목적으로 설립해 운용 중인 연대체다. 트럼프는 "브릭스의 반미 정책에 동조하는 모든 국가에는 추가로 10%의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며 "이 정책에는 예외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점이 임박하자 우리 정부도 막판 총력전을 기울이고 있다. 막바지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귀국 일정을 정하지 않은 채 통상 협상에 전념하고 있다.
여 본부장은 6일(현지시간)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상호관세 유예 시한 연장과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 미국 관세에 큰 영향을 받는 품목에 대한 관세 철폐 혹은 완화 등을 요청했다. 그는 상호호혜적인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추가 협상 시한이 더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미국 측과 상호관세 유예 연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