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카카오가 서울 성북구를 시작으로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프로젝트 단골’ 상생 사업을 본격 확대한다. 기존 전통시장 중심 지원에서 벗어나, 지자체 단위의 통합 지원 체계로 전환하며 전국 단위 지역경제 연계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카카오는 4일 서울 성북구와 ‘프로젝트 단골’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중소벤처기업부·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사회연대은행과 함께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사업’을 공동 추진한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3일 성북구청에서 열렸으며, 이승로 성북구청장, 이정욱 소진공 서울지역본부장, 김용덕 사회연대은행 이사장, 권대열 카카오 ESG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기존에는 개별 시장이나 상점가 단위로 지원했지만, 올해부터는 시·군·구 단위의 주요 상권을 통합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환된다. 서울 성북구를 포함해 올해 전국 10개 지역, 약 40개 상권이 대상이며, 상권 간 시너지 효과와 지역 자원 연계를 높일 수 있도록 기획됐다.
지원 내용도 확대됐다. 기존 1:1 맞춤 교육, 카카오톡 채널 메시지 발송 지원금, 카카오페이·카카오뱅크 금융 지원 등은 유지하고, ‘단골버스(가칭)’ 셔틀 운행, 청년 디지털 서포터즈 양성, 라이브커머스 교육 등 신규 프로그램이 추가됐다. 지난해 참여 상권을 위한 ‘다시 찾아가는 단골거리’ 재방문 프로그램도 병행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진정성 있는 협력과 실효성 있는 현장 지원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상생 모델을 확대하겠다”며 “소상공인과 함께 성장하는 지역경제 파트너로서의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