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김지우 기자] 배우 이정재가 '오징어 게임' 대단원의 결말에 대해 얘기했다.
마이데일리는 3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3에 출연한 이정재를 만나 다양한 얘기를 나눴다.
'오징어 게임3'는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은 기훈(이정재)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든 프론트맨(이병헌),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 이야기다.
이날 이정재는 작품의 결말에 대해 "작가 겸 연출자의 의도가 분명히 보였다"며 "시리즈가 계속되어 성공을 누리는 것보다, 작품의 완결성을 위해 이런 선택을 한다는 용기에 놀랐다. 황동혁 감독은 자신의 물질적 성공보다 작품성에 더 집중하고 애정을 갖는구나 싶었다. 쇼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이 아닌 작가라는 인상이 강하게 들었다. 작가주의의 결정을 따라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황 감독도 아쉬움이 있을 거다. '오징어 게임'을 마무리 짓겠다는 그의 결정에 힘을 실어야겠다는 마음이 컸다"며 "원래 시즌1 이후는 없다고 얘기해 왔는데, 워낙 큰 성공을 하다 보니 팬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해야겠다는 취지로 시즌2를 시작했다. 이런 큰 성공과 기회 속 감독으로서 하고 싶은 걸 다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게 맞다고 생각했다. 제가 표현하고 싶은 방향도 있었지만, 감독님이 원하는 방향을 최대한 맞추려고 노력했다. 제 아이디어나 생각을 얘기하기보다는 감독님이 무엇을 더 하고 싶은지에 대한 질문을 많이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황동혁 감독은 꾸준히 영화만 했던 분이다. 영화는 엔딩이 가장 중요하다. 엔딩에서 관객들이 느끼는 감정들이 진폭 되어야 하고 완결감이 있어야 한다. 그 안에서 재미와 메시지까지 마무리 지어야 하는 부분이 있다. 그런 측면에서 이 큰 프로젝트의 엔딩을 황 감독이 얼마나 고민했을까 싶다. 묻지 않아도 잘 아는 것이다. 감독이 전하고 싶은 메시지에 대한 열망이 이 정도로 강렬한가. 저도 좀 놀랐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정재는 "저는 결말에 대해 객관적으로 볼 수 없다. 5~6년 이 프로젝트를 했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우리의 의도를 좀 이해해달라는 마음이 큰 것 같다. 다른 영화였다면 '저라면 이렇게 했을 것 같다'고 상상할 수도 있겠지만, 워낙 오래 했기 때문에 다른 버전의 결말에 대해 말하기가 어렵다. 성기훈 사는 엔딩도 있었다고 얘기는 들어봤다. 감독님이 여러 버전을 고민했고, 고심이 깊었던 걸로 안다. 성기훈이 사는 쪽을 선택해도 좋았을 것 같고, 지금 엔딩도 마무리로서는 잘 선택한 것 아닌가 싶다. 역시 객관적이지 못할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끝으로 "호불호 반응은 항상 있어왔다. 요즘은 각자의 의견이 쏟아져 나오면서 이야깃거리들이 풍성해지는 게 좋은 거라 생각한다"면서 "황동혁 감독도 예상했을 거다. '대다수 많은 분들이 좋아하진 않겠지, 하지만 난 이 선택이 가장 좋은 것 같아' 하고 결정한 거다. 저와 감독님을 비롯해 '오징어 게임' 현장에 있던 사람들은 대한민국 콘텐츠 비즈니스의 핵심에 있는 사람들이다. 많은 성공과 실패를 해봤기 때문에 대중적인 것과 매니악한 것을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은 없었다. 그럼에도 이렇게 마무리했으면 좋겠다는 작가주의적인 생각을 따랐다"고 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