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차세대 첨단위성…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포인트경제
우주환경시험시설 조감도. [사진=진주시](포인트경제)
우주환경시험시설 조감도. [사진=진주시](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진주시는 경상남도가 차세대 첨단위성 글로벌 혁신규제자유특구(이하 글로벌 혁신특구)로 최정 지정된 데 대해 환영의 뜻을 25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난 21일 중소벤처기업부의 제15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진주시와 사천시 일원 1112㎢가 글로벌 혁신특구로 신규 지정이 최종 확정됐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국제표준 인증, 해외 실증, 글로벌 네트워크구축 등을 통해 기업의 해외 진출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이다.

경남도는 진주시와 사천시를 ‘차세대 첨단위성 기술 실증’과 혁신 우주기술검증의 거점으로 설정해 글로벌 혁신특구로의 지정을 신청했고, 지난해 말 후보지로 선정, 이번에 최종 지정이 확정됐다.

또한 혁신특구지정은 기술 개발, 인증, 실증, 수출까지 전 과정을 종합 지원해 지역 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혁신특구 사업은 올해 6월부터 오는 2029년 12월까지 4년 7개월간 총 450억원(국비 200억, 도비 100억, 민간 150억 포함)이 투입돼 추진된다.

시는 이번 혁신특구 지정으로 경상국립대학교를 중심으로 지역 내 산학연이 협력해 위성체, 발사체 개발과 관리 표준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 사업으로 차세대 첨단위성 기술 실증 플랫폼 개발, 우주 소자, 부품의 국산화와 실증, 해외 실증, 인증 지원 체계 구축 등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혁신특구지정의 성과는 현행 법령으로는 실증이 어려웠던 위성 개발, 서비싱(Servicing) 잔해물처리 등 규제 특례 적용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또 혁신특구지정으로 차세대 첨단위성을 제작하는 복수 기업 간 공동 기술개발 시 공정거래위원회 인가 없이도 진행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시는 이번 특구지정으로 미국, 영국 등 해외 기관과 협력을 통해, 국내에 없는 절차를 마련하고 글로벌 공동 R&D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그간 위성체 개발, 인재 양성, 인프라 구축 등 우주항공산업의 기반을 지속해서 다져온 결과라고 전망했다.

시는 이번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을 통해 초소형 위성체 개발, 국제 수준 시험, 실증 인프라 고도화, 산학연과 행정의 유기적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시는 특구지정으로 청년, 전문 인력 맞춤형 일자리 창출, 수출의 선순환 구조 확립 등 글로벌 우주항공산업 거점도시로의 발판을 마련했다.

조규일 경상남도 진주시장은 "이번 특구지정은 시가 그간 쌓아온 우주항공산업 기반구축을 노력한 결과다"며 "지역 기업, 대학 등 글로벌 혁신특구를 조성하기 위해 모든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진주시는 총사업비 1554억원 규모의 ‘우주환경시험시설’ 구축사업을 통해 정촌면 경남우주항공국가산단 진주지구 내에 발사, 궤도, 전자파 환경시험 인프라를 오는 2028년까지 조성, 뉴스페이스 시대에 대비한 국제 수준의 실증 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진주시, 차세대 첨단위성…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