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순천시가 청년과 신혼부부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정주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전남 동부권 인구가 70만명 아래로 내려가며 청년층의 지역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가장 큰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지만 주거 문제 역시 지역을 떠나는 이유로 주목된다.

전국적으로 주택보급률은 100%를 넘어섰지만 청년층의 소득 증가율에 비해 집값 상승은 더욱 가파른 데다 지역부동산 가격마저 폭등하면서 청년층은 지역에서조차 둥지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시는 올해 약 500억원 규모의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해 청년 실제 정착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을 추진 중이다.
먼저 청년주택 공급을 위해 LH와 협업으로 3개소에 임대주택 신축을 추진하고 있다. 2026년까지 총 3개소 89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청년·신혼부부를 위해 LH와 협력해서 총 131세대의 임대 주택을 공급했다. 이외에도 저전동 일원에 청년 임대셰어하우스 16실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구입 및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청년들을 대상으로 월세와 취업자 주거비 지원 등 폭넓은 주거지원 정책을 추진 중이다.
생태, 의료, 일자리 정책도 눈에 띈다. 청년들이 오천그린광장과 풍덕수변공원 등 도심 속에서도 쉼을 누릴 수 있는 쾌적한 정주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평일 저녁, 야간에도 아이들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달빛어린이병원과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 등 응급의료체계 또한 꼼꼼히 구축해 나가고 있다.
무엇보다 문화콘텐츠·우주·바이오라는 3대 경제축을 중심으로 'K-컬처'와 'K-방산'으로 표현되는 국가 전략사업 관련 일자리 조성도 발 빠르게 추진하고 있어 청년들을 위한 미래형 일자리 창출 또한 기대되는 분위기다.
이러한 노력으로 순천시는 2019년부터 전남도 내에서 6년 연속 최다 출생아 수를 기록했으며 올해 1월부터 4개월 동안 출생아 수 또한 540명으로 전남 출생아수 2912명의 18.5%에 달한다. 전체 인구 대비 청년 비율 또한 33.7%로 전남 평균 28.3%를 크게 웃돌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서울이나 수도권이 아니어도, 청년들이 지역에서 안정적인 삶과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일자리와 주거, 생활환경이 선순환하는 도시 시스템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