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5월20일 '세계 벌의 날'을 맞아 꿀벌 보호와 양봉산업 지원을 위한 밀원수림 조성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목재 생산은 물론 생물다양성 보존에도 기여하겠다고 19일 밝혔다.

'세계 벌의 날'은 꿀벌의 생태적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유엔(UN)이 2018년부터 매년 오는 20일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꿀벌은 꽃가루를 매개하고 꿀을 제공하는 등 동식물 생태계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밀원수는 꿀벌에게 꿀과 화분을 제공하는 나무로, 꿀벌 생존과 양봉산업 기반에 필수적인 자원이다. 특히, 다양한 수종을 통해 연중 지속적인 꽃꿀 공급이 가능해야 꿀벌의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 개화시기가 다른 수종의 복합 식재가 중요하다.
산림청은 최근 5년간(2020∼2024년) 연평균 약 3600헥타(ha)의 밀원수림을 전국에 조성했다. 주요 수종으로는 5월에 꽃이 피는 백합나무(34.6%), 6월 개화하는 헛개나무(12.9%), 4월에 피는 벚나무(10.5%) 등으로, 경관 가치와 특수 용도를 겸비한 다목적 수종들이다.
특히, 산림청은 올해부터 밀원수림 조성 면적 목표를 연 4000헥타르로 30% 확대하고, 2029년까지 총 2만 헥타르를 조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쉬나무, 피나무, 송악 등 새로운 밀원수종을 도입하고, 신규 밀원 자원 발굴 및 연구도 강화할 계획이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꿀벌은 생태계의 건강성을 지키는 중요한 생물로, 양봉을 통한 임업·농업 소득 창출에도 기여한다"며 "밀원수림 조성 확대와 관계기관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양봉산업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