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주요 후보가 AI(인공지능)와 게임 산업을 중심으로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16일 IT(정보통신기술)업계에 따르면 대선 후보들은 AI 산업 육성, 인재 양성, 정부 조직 개편 등을 통해 미래 성장 전략을 제시하며 유권자 표심 잡기에 나섰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AI 산업 육성의 일환으로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모든 국민이 선진국 수준의 AI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 AI 반도체 GPU 10만장 이상을 보유한 데이터센터 구축, AI 전문인력 10만명 양성, AI 전문인력 병역 특례 등을 제시했다.
게임 산업 정책으로는 3월 민주당 내 게임특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게임 이용장애 질병코드 등재 저지 △e스포츠 생태계 조성 △등급분류 제도 개선 △게임·e스포츠 산업진흥원 설립 등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웠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AI 산업 육성과 함께 청년 일자리 창출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그는 AI 청년 인재 20만명 양성과 100조원 규모 민관합동펀드 조성을 통해 AI 유니콘 기업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AI 산업의 필수 인프라가 될 전력 공급을 위해 원전 건설과 한국형 소형원전(SMR) 상용화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법인세·상속세 최고세율 인하, 산업용 전기료 인하 등을 통해 기업 환경을 개선하겠다는 공약도 내세웠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정부 조직 개편을 통해 AI 정책의 일관성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을 총괄하는 ‘전략 부총리’ 신설을 제시하며 AI 정책의 체계적 추진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양대 정당이 강조하는 정부 주도 AI 투자와 그래픽처리장치(GPU) 구매 등에 비판적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대신 창의성과 시장 활력을 살리는 규제 완화와 성과 보상 체계 개편을 강조했다.
또 그는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2일, 지지자 소통 애플리케이션 ‘준스톡’을 통해 정책 홍보용 게임 ‘퍼스트펭귄 이준석게임’을 출시했다. 이 게임은 이 후보의 정책을 쉽게 알리고, 정치 후원금을 모금하는 기능도 포함돼 있다.
업계에서는 AI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논의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지만, 구체적인 예산 집행 계획이 없다면 정책이 방향성을 잃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IT업계 관계자는 “AI와 게임 산업이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대선 후보들의 공약이 단순히 구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