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거래 주춤에도 "강남·과천 고가단지 중심 신고가 속출"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서울·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거래량이 다소 주춤한 가운데, 강남·과천 등 일부 고가 단지 중심으로 종전 최고가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를 초과한 신고가 거래가 전체 절반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구는 2022년 4월(53.7%) 이후 처음으로 신고가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서며, 지난 4월 전체 거래 59.0%가 종전 최고가 이상 수준에서 체결됐다. 과천시도 전체 거래 62.5%가 신고가로 집계되는 등 고가 단지 중심으로 가격 강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아파트 매매 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5년 4월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이 1만3423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2만5456건)대비 47% 감소한 수치다. 

이처럼 거래량은 줄었지만, 서울 강남구(59.0%)·경기 과천시(62.5%)는 거래 절반 이상이 신고가로 거래되는 등 고가 단지 중심으로 높은 가격대가 유지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반면 수도권 전체 신고가 거래 비중은 3월 9.10%에서 5.97%로 낮아졌으며 서울(18.75%→15.44%)·인천(2.97%→2.55%)·경기(3.75%→3.08%) 모두 소폭 감소했다. 이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조기 대선 등 주요 정책·제도 변화를 향한 관망 심리가 확산되며, 거래가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런 분위기 속에서도 고가 단지 밀집 지역 중심으로 선택적 매수세가 유입되며, 지역별로 거래 흐름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다.

서울 지역별 신고가 거래 비중을 살펴보면, 주요 지역 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강남구는 전체 거래 59.0%가 신고가에서 이뤄지며, 2022년 4월(53.7%) 이후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용산구 역시 고급 주거지·개발 기대감이 맞물리며 신고가 거래 비중(46.2%)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목동신시가지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된 양천구는 전월(25.9%)대비 18%p 넘게 상승한 44.0%를 기록했다. 서초구(33.3%)의 경우 전월보다 소폭 낮아졌지만, 고가 단지 중심으로 여전히 높은 비중을 유지했다. 이외에도 △송파구(27.9%) △마포구(26.0%) △강동구(22.8%) △성동구(22.2%) 등 한강변·도심 주요 지역에서도 20% 이상 신고가 거래 비중을 나타냈다.  

이와 달리 △도봉구(0.9%) △강북구(1.5%) △노원구(1.9%)  등은 1% 내외의 낮은 신고가 비중을 보이는 등 외곽 지역은 대조적 흐름을 보였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시가 전체 거래 62.5%가 신고가 거래로 집계되며,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과천푸르지오써밋·래미안슈르·과천자이 등 주요 고가 단지 중심으로 거래가 형성되며, 서울 강남과 유사하게 고급 주거지에 수요가 집중되는 양상이다. 

성남시 분당구(15.7%)는 판교 백현동 중대형 아파트와 수내·서현동 등 1기 신도시 리모델링 추진 단지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졌다. 서울 접근성과 개발 기대가 맞물리며, 입지 선호도가 높은 지역에 선택적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이다.

부천시 오정구(15.4%)·소사구(10.1%)는 서울 접근성이 우수한 중소형 구축 단지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포착됐다. 상대적으로 가격 부담이 낮은 중저가 단지 중심으로 실수요 매수가 이어진 결과로 해석된다.


인천 시장은 전반적으로 거래량 감소와 관망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추홀구는 신고가 거래 비중(7.5%)이 인천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정비사업을 통한 신축 단지 및 역세권 브랜드 아파트 중심으로 매수 수요가 유입되면서 일부 단지에서 가격 반등이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동구(4.5%) △부평구(4.4%) △서구(1.9%) △남동구(1.5%) △계양구(1.1%) △연수구(0.7%) 등 대부분 지역은 신고가 거래 비중이 낮은 수준에 머물며 여전히 관망 흐름이 유지되고 있다.

이처럼 거래량은 줄었지만, 그동안 시장을 관망하던 수요자들이 선호 지역 기점으로 선별적 매수에 나서며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입지 경쟁력이 높은 고가 주거지 등은 대기 수요가 여전히 유효하게 작용하며, 가격 회복 흐름을 견인하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일부 고가 단지 상승 거래는 시장 기대치에 영향을 주는 기준점(앵커) 역할을 담당하며, 이른바 '앵커링 효과'를 통해 주변 단지 가격 형성에도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향후에도 금리·정책 등 대외 변수에 대한 관망세 속에서 개별 단지 입지와 상품성에 따라 수요가 갈리는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아파트 거래 주춤에도 "강남·과천 고가단지 중심 신고가 속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