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아빠(이종범)는 야구하는 법을 절대 알려주지 않으셔서 내가 만들었다.”
MLB.com이 2일(이하 한국시각) 이정후(27,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타격을 3단계로 뜯어 정밀 분석했다. 이정후는 올 시즌 31경기서 117타수 37안타 타율 0.316 3홈런 18타점 23득점 출루율 0.372 장타율 0.521 OPS 0.893을 기록했다.

2일 콜로라도 로키스전서 경기 막판 투입돼 범타로 물러나면서 7경기 연속안타를 마감했다. 시즌 초반에 비해 타격감은 살짝 떨어졌다. 그러나 이정후는 여전히 내셔널리그 중견수들 중 탑클래스 성적을 낸다.
MLB.com은 “이정후의 스윙은 마치 군사적인 절차처럼 앞으로 나아간다”라고 했다. 1단계는 준비자세. “두 손을 머리 쪽으로 들어올리고 앞발을 1루 쪽으로 크게 벌리고 서서 타석에 들어선다”라고 했다. 특유의 오픈스탠스이며, 방망이를 든 손이 어깨에서 나온다. 2년 전 메이저리그 적응에 데뷔, 두 손을 가슴 부근으로 낮춰 히팅포인트까지 더 빨리 가고자 했으나 대실패했다. 결과적으로 본래 자세로 돌아가 대성공했다.
2단계는 이렇게 언급했다. MLB.com은 “투수가 투구동작을 시작하자 이정후가 날카롭게 들어온다. 사가형에 가깝지만 스프링처럼 감겨있다. 그는 그곳에서 자신의 위치를 유지한다”라고 했다. 손과 발의 테이크 백 동작을 의미한다. 실제 타격을 보면 스프링이 풀리는 듯한 느낌도 준다.
3단계는 이렇다. MLB.com은 “마침내 투구가 공개되면서, 이정후는 투수를 향해 전진한다. 스프링을 풀고 타율 0.316 OPS 0.893, 내셔널리그 전체 1위의 2루타(11개)를 날려버린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MLB에서 자주 볼 수 없는 타격 스타일”이라고 했다.
MLB.com은 이정후의 스윙을 두고 라파엘 데버스(보스턴 레드삭스)처럼 양 발 간격이 큰 오픈 스탠스, 오타니 쇼헤이(LA 다저스)의 토탭, 프레디 프리먼(LA 다저스)의 어퍼컷 스타일의 스윙이 결합됐다고 했다.
물론 이정후는 MLB.com에 “모든 것은 타이밍이다. 투수가 어떤 공을 던지든지 타격은 타이밍에 달렸다. 타이밍이 좋을 때는 다양한 투구에 대해 배트에 맞는 적절한 컨택의 품질을 만들어내면 된다”라고 했다.
아버지 이종범 KT 위즈 코치 얘기가 나왔다. 이정후는 “아빠는 야구하는 법을 절대 알려주지 않았다. 내가 만든 것이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나와 아빠는 스윙을 할 때 다른 종류의 동작을 한다. 내 타격은 내가 생각해낸 것”이라고 했다.
휘문고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정립된 스윙이다. 이정후는 “고교 때 그렇게 타격을 시작했다. 그렇게 쌓여서 기계처럼 그렇게 하고 있다. 매년 개선점을 찾았고, 지금은 이 스윙을 하고 있다. 그냥 계속 해왔다. 결과가 항상 나왔다. 아무 것도 바꿀 필요가 없었다”라고 했다.
MLB.com은 이정후가 좌우투수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구종에도 잘 대처한다고 극찬했다. 그는 “예전에는 이 정도로 오픈스탠스는 아니었다. 프로에 오니 다른 종류의 투수들과 상대하면서 변하기 시작했다. 특별히 그렇게 치려고 한 것은 아니고, 자연스럽게 그렇게 변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모든 것은 경험에 달렸다”라고 했다.
메이저리그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더 좋은 스윙을 한다. 이정후는 “작년에는 투수들이 볼카운트 초반에 나를 잡으려고 했다. 그래서 이를 활용해 더 공격적으로 대처하려고 노력한다”라면서 “나는 홈런타자가 될 수 없다는 걸 안다. 라인드라이브를 많이 치는데 집중한다. 지금도 매일 라인드라이브를 치는 걸 목표로 삼고 연습한다”라고 했다.

결국 타격은 타이밍이다. 이정후도 타격의 바이블을 거스르지 않는다. 그러나 이정후는 이정후다운 스윙을 만들어오면서 메이저리그까지 정복하고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