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광주광역시가 정부 추가경정예산에 인공지능(AI) 사업과 소상공인 지원 예산을 성공적으로 반영했다.
정부의 지역사업 배제 기조 속에서도 지역 발전을 위한 전략적 예산 확보에 성공하며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추경으로 광주의 AI 산업과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광주시는 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5년도 제1회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에 AI 사업, 지역화폐, 공공배달앱 지원 예산 등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 추경은 △산불 대응 △통상·AI 지원 △민생 지원 등 세 가지 목적으로 편성됐지만, 지역 예산은 사실상 제외되는 분위기였다. 특히 광주 국가AI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한 AI 사업은 '지역사업'이라는 이유로 정부가 예산 반영을 꺼렸다.
광주시는 안도걸‧조인철 의원 등 지역 국회의원과 긴밀히 협력하고, 강기정 시장이 직접 '여의도 집무실'을 운영하며 적극 대응했다. 인공지능산업실장과 국비전략팀을 국회 예산 심의 초기부터 서울에 상주시켜 중앙부처와 국회를 설득했다.
이러한 노력 끝에 광주 인공지능 전략사업 예산 153억 원이 정부 추경에 최종 반영됐다. 이로 인해 1단계 사업으로 구축한 국가AI데이터센터 기반의 고성능 컴퓨팅자원(GPU) 지원 사업에도 탄력이 붙었다.
광주시 관계자는 "AI 예산이 요구액에 비해 부족하지만, 정부의 지역사업 배제 기조 속 일부라도 반영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라고 말했다.
AI 예산 외에도 광주시와 대구시 등 4개 광역시가 요청한 '도시철도 통합무선망 철도 구축사업비' 178억 원도 포함됐다. 이로 인해 도시철도 안전운행 환경 조성에 새로운 희망이 생겼다.
광주시는 지역화폐와 공공배달앱 예산도 정부 추경에 반영했다. 경제위기 극복과 지역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위해 '광주상생카드'를 운영해 왔으며, 이번 추경에 지역사랑상품권 예산이 포함되면서 운영 안정성을 확보했다.
공공배달앱 지원 예산 650억 원도 새로 반영됐다. 대기업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대응해 도입한 광주공공배달앱(위메프오, 땡겨요)은 올해 3월 기준 누적 주문 185만 건, 매출 459억 원을 기록하며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외에도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부담경감크레딧', '상생페이백', '소상공인 정책자금' 등 총 4조2000억 원 규모의 소상공인 지원 예산이 포함됐다. 광주시는 지역 소상공인의 예상 수혜액을 1600억 원으로 추산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해 말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예산 증액이 무산됐는데 이번 추경에서 일부라도 만회해 다행"이라며 "광주는 AI 국가경쟁력의 핵심 플랫폼이자 민생경제 안정의 선도도시로서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