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美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생산지 이전 고려"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삼성전자(005930)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TV와 가전 일부 물량의 생산지 이전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30일 1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다수의 글로벌 생산 거점과 고객 관리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 필요한 사항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대응 태세를 갖추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날 "최근 관세 정책의 급변동과 주요국의 지정학적 갈등 등 불확실성으로 사업에 대한 영향을 예측하고 대책을 세우기가 어렵다"며 "주요국 통상 정책을 예의주시하며 관련국과 긴밀히 소통해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현재 미국 정부는 국가별 상호관세는 유예하고 전 세계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보편관세)만 부과한 상태다. 다만 주력인 반도체,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 대해서는 품목별 관세 적용을 예고한 바 있다. 

이에 삼성전자는 모바일경험(MX) 사업의 경우 반도체 등 관세 부과 가정 시 주요 부품의 구매 가격 상승이 예상되기 때문에 플래그십 스마트폰과 프리미엄 신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수익성 확보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영상디스플레이(VD)와 가전(DA)도 프리미엄 제품 확대를 추진한다. 필요 시에는 글로벌 제조 거점을 활용한 일부 물량의 생산지 이전을 고려해 관세 영향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미국의 반도체 관세 정책의 향배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응안을 지속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1분기 삼성전자의 DS부문 매출은 고대역폭메모리(HBM) 판매 감소 영향 등으로 전분기 대비 17% 감소한 25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약 8.5%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자는 불확실성이 개선되면 실적이 하반기로 갈수록 개선되는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메모리 사업의 경우 하반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재준 메모리사업부 부사장은 "1분기에 글로벌 관세 우려로 세트 프리빌드(사전 재고 비축)가 확대돼 고객사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면서 분기 초 예상보다 수요 회복이 가시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2분기는 고객사 부품 재고가 정상화되고 AI 수요가 지속하면서 메모리 시장 자체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은 견조하나 주요 국가들의 관세 정책 변화와 AI 반도체 수출 통제 등으로 하반기 수요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2분기의 경우 관세 유예 영향으로 세트(완제품) 프리빌드(pre-build·사전 재고 비축)를 위한 일부 고객들의 풀인(pull-in) 공급 요청이 접수되고 있고 이러한 2분기 선행 구매 현상이 하반기 수요에는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 측은 "향후 어떤 추가 상황이 발생할지 불확실하다"며 "하반기 수요는 향후 추가적인 관세 정책 변화와 선행 구매 수요에 대한 공급 여력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삼성전자, 美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생산지 이전 고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