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정부와 산업계·학계가 손잡고 조선·해양 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 본격화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부는 20일 판교 HD현대글로벌R&D센터에서 UNIST·HD한국조선해양·HD현대중공업·HD현대로보틱스·울산대학교 등 5개 기관과 조선·해양 산업 AI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 △박동일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박종래 UNIST 총장 △오연천 울산대 총장 △정기선 HD현대(267250) 회장 △김형관 HD한국조선해양(009540) 대표 △금석호 HD현대중공업(329180) 대표, 정영근 HD현대로보틱스 상무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제적 경쟁력을 가진 한국 조선·해양 산업에 AI을 적용해 한 단계 도약을 이끌고, 산·학의 역량을 결집해 조선·해양 산업의 AI 전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이를 위해 5개 기관은 향후 협약에 따라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등 조선·해양 산업의 디지털 전략자산 공동 창출 △데이터 생태계 구축 등 산업 지식·데이터 기반 산업 경쟁력 강화 △전문 인력 양성 △지역 산업 생태계 활성화 등에서 공동협력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AI 적용을 위한 연구개발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활용 등과 관련한 불합리한 규제를 발굴하고 규제 샌드박스를 적용하는 등 관계부처와 논의해 개선한다.
피지컬 AI에는 필수적이지만 그동안 어려움이 있었던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한 피지컬 AI 파운데이션 모델의 데이터 기반 운영이 실질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 UNIST를 포함한 지역 과학기술원이 조선·해양과 같은 지역 특화 분야 AX 혁신과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기업, 지역대학과 협력할 수 있도록 관련 투자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반세기 동안 축적된 용접·도장 등 고숙련 작업자의 노하우를 데이터화한다. AI 자동화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 개발과 함께 AI 자율 운영 조선소 실현에 필요한 피지컬 AI 기술들을 제조 AX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업계와 소통하며 순차적으로 확보할 방침이다.
배 부총리는 "현재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겪고 있는 국내 조선·해양 산업에 있어서 본 협약은 위기를 극복하고 기회를 잡는 중요한 발판이 될 뿐만 아니라 조선·해양 산업의 AI 대전환을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