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여전사 CEO들 만나 "정보유출 재발방지 나서야"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여신전문금융업권(카드·캐피탈·신기술금융) CEO들과 첫 대면 자리에서 소비자 신뢰 회복과 생산적 금융 전환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최근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 사고와 다단계 PG 구조 확산 등 업권 전반의 관리 부실을 강하게 지적하며, "뼈를 깎는 수준의 혁신"을 주문했다.


2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이 위원장은 이날 여신금융협회장과 15개 카드사·캐피탈사·신기술금융사 CEO가 참석한 간담회에서 "여전업은 국민 실생활과 가장 밀접한 금융"이라며 "소비자 보호와 신뢰 확보를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최근 카드사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언급하며 "소비자 보호에 대한 인식 부족이 드러난 단적인 사례"라고 직격했다. 그는 금융보안·정보보호가 신뢰의 핵심이라며 재발 방지 대책을 주문했다.

또한 온라인 결제 시장에서 확산된 다단계 PG 구조를 두고 "카드업권이 소비자를 도외시하고 손쉬운 영업에 안주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복잡한 결제 구조에서 발생하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전자지급수단과 카드결제 간 규제 차익을 바로잡는 등 PG 기반 카드결제 규율체계 정비를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비대면 소비 확산에 대응해 캐피탈사에는 본업과 연계한 부가상품·서비스 개발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렌탈 취급 한도 완화 등 제도 개선 가능성을 열어뒀다. 현재 캐피탈사는 본업 실적 범위 내에 한해 렌탈 취급이 제한돼 있어, 공유·구독경제 확산에 맞지 않는다는 업계 지적이 이어져 왔다.

업계는 △미성년자 체크카드 발급연령 확대 △후불교통카드 이용 한도 상향 △캐피탈사의 통신판매업·보험대리점 허용 △모험자본 공급 확대 위한 규제 완화 등을 건의했다.

특히 청소년 이용자의 금융 접근성이 지나치게 제한돼 있다는 문제 제기가 이어졌다. 이에 대해 이 부위원장은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과제"라며 체크카드·후불교통카드 규제 완화, 캐피탈사 통신판매업 허용, 렌탈 한도 조정 등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여전업권이 수신 기능이 없어 외부 차입 의존도가 높은 점을 언급하며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업권에 청년 일자리 확대를 요청하며 간담회를 마무리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이억원, 여전사 CEO들 만나 "정보유출 재발방지 나서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