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충남 보령의 오색 빛깔 섬들이 세계의 예술을 품는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조직위원회는 민간조직위원장·예술감독·사무총장을 잇달아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다지고, 전시 기본계획을 확정하는 등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했다.
섬비엔날레는 충남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새로운 국제 해양예술 행사로, 2027년 4월3일부터 5월30일까지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첫 무대를 펼친다.
1회 행사 이후에는 점진적 확장이 이어진다. 2029년 3개 섬→2031년 4개 섬→2033년 보령 5개 섬(원산도·고대도·삽시도·장고도·효자도) 전체로 무대를 넓히며 대한민국 최초의 '다도해 순환형 비엔날레' 모델을 구축한다.

조직위는 지난달 송상호 경희대 명예교수를 민간조직위원장으로 선임했고, 김태흠 충남지사와 김동일 보령시장이 공동조직위원장을 맡아 전체 방향을 총괄한다. 예술감독에는 김성연 전 부산비엔날레 집행위원장을, 사무총장에는 고효열 전 도의회 사무처장을 각각 선임하며 전문성과 실행력을 겸비한 체계를 완비했다.
조직위가 제시한 섬비엔날레의 기본 방향은 다음 네 가지다. △섬·바다의 가치 재발굴, 예술·축제를 통한 공유와 확산 △지역과 예술 결합으로 새로운 문화자산 창출 △섬의 공간·지리·자원 등 지역성의 다층적 활용 △자연환경 보전·지속성에 기반한 미래지향적 의미 도출 등을 제시했다.
전시는 △섬의 생태·문화 전시 △섬의 지리·건축·역사가 반영된 비엔날레 △국제 예술 교류 플랫폼 구축이라는 3축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24개국 70여 명의 작가가 참여할 예정이다.

섬비엔날레의 주전시장은 오는 21일 착공하는 '섬문화예술플랫폼'이다. 원산도에 조성되는 이 시설은 부지 9886㎡, 연면적 3989㎡ 규모로 300억원이 투입되며, 2027년 개막과 동시에 문을 연다. 전시장은 국내외 유명 작가의 작품을 담는 핵심 공간으로, 주변 해안도로와 야외 공간에는 조각·설치 작품이 배치돼 '섬 전체가 하나의 미술관'이 되는 것이 목표다.
섬비엔날레의 특징은 '섬의 일상 공간'을 전시장으로 확장한다는 점이다. 원산도 선촌항과 점촌마을의 빈집·창고·카페 등을 활용해 장소 특정적 작품(site-specific art)을 선보이며, 섬 고유의 지형과 공간을 예술적 무대로 전환한다.
고대도 일원 항구와 해안도로에도 지역 정체성을 반영한 조각과 설치 작품이 들어서, 관광객은 섬 곳곳에서 예술 경험을 누릴 수 있다.

비엔날레 기간에는 사운드·퍼포먼스 아트, 국제세미나, 아티스트 토크 등 연계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또한 섬을 깊이 체험할 수 있는 아트 투어·아트 캠핑 등 부대행사도 마련돼 가족 단위·예술 애호가·관광객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복합형 축제가 될 전망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2027년 첫 회에 섬비엔날레의 큰 그림 중 20~30%를 완성하고, 점차 지속 가능한 구조로 예술행사를 만들어 확대해이를 통해 새로운 국가 랜드마크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김동일 보령시장은 "각 비엔날레 개최 시기에 맞춰 회차별로 2~3개의 글로벌 작품을 새롭게 설치해 세계인이 찾는 섬을 만들겠다"며 "비엔날레를 통해 해양관광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겠다"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