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한 달 가까이 지난 현재,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규제지역으로 묶인 곳일수록 거래 위축이 두드러졌다.
부동산 시장조사업체 리얼투데이가 1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16일 대책 시행 이후 이달 11일까지 27일간 서울 아파트 거래 건수는 232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27일(9월18일~10월15일) 동안의 거래량 1만254건에 비해 77.4%나 줄어든 수준이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영등포구의 거래량이 93.9% 감소하며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이어 광진구(-90%), 성동구(-89.6%), 중구(-85.9%), 강동구(-85.1%), 마포구(-84.9%), 동작구(-84.9%), 종로구(-83.5%), 동대문구(-82.6%) 등 주요 지역 대부분에서 거래가 급감했다. 최근까지 집값 상승세가 두드러졌던 한강벨트는 물론, 서울 전역이 거래절벽 현상을 겪고 있는 셈이다.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새로 지정된 수도권 지역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다. 성남시 분당구의 거래량은 86.6% 감소했고, 수정구(-91.3%), 중원구(-86.2%), 광명시(-85.4%), 안양시 동안구(-81.5%), 하남시(-80.9%), 용인시 수지구(-73.9%) 등도 거래가 급감했다.
반면 이미 강력한 규제가 적용되고 있던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와 용산구는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았다. 같은 기간 송파구의 거래량 감소율은 2.9%에 불과했고, 서초구(-7%), 강남구(-29.7%), 용산구(-48.6%) 역시 서울 평균보다 감소 폭이 작았다.
흥미로운 점은 규제를 피한 일부 경기 지역에서는 거래가 오히려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감지된다는 것이다. 수원시 권선구는 10·15 대책 시행 후 거래량이 67.6% 늘었으며, 화성시(44.6%), 용인시 기흥구(13.4%), 안양시 만안구(12.3%) 등도 증가세를 보였다.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금액은 대책 시행 전 27일 동안 12조3883억원에서 시행 후 3조1757억원으로 74.4% 급감했다. 그러나 평균 거래가격은 오히려 12억814만원에서 13억6882만원으로 상승했다. 거래는 줄었지만, 일부 지역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며 평균값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