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BMW 코리아가 전동화 시장에서 질적 성장을 입증하고 있다. 단순히 전기차 판매를 늘리는데 그치지 않고 △충전인프라 △서비스 △안전 관리까지 아우르는 '전동화 생태계'를 완성하며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BMW 코리아의 올해 1~10월 전동화 차량 판매량은 9454대로 전년 대비 약 15.6% 증가했다. 이 중 순수 전기차(BEV)는 4814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는 4640대였다. 특히 PHEV는 전년 동기 2719대에서 70.7% 급증하며, BMW 전동화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했다.
◆'선택의 폭'이 만든 성장…인프라 구축도 'BMW식 정공법'
BMW의 성장세는 라인업의 다양성에서 비롯됐다. BMW 코리아는 파워 오브 초이스(Power of Choice) 전략 아래 소비자에게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 콤팩트 SAV iX1부터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 i7 그리고 BMW M 전용 초고성능 하이브리드 XM까지 총 13종, 24가지 파워트레인을 갖췄다.

이는 단순한 모델 확장이 아니라 '소비자 중심 전동화 전략'의 결과물이다. 전기차로의 급격한 전환 대신 하이브리드 및 PHEV를 병행하며 점진적 전동화를 추진하는 BMW의 접근법이 한국시장에서도 유효성을 증명한 셈이다.
BMW 코리아는 차량판매에 그치지 않고 충전인프라 확충에도 적극적이다. 지난 2022년부터 BMW 차징 스테이션(BMW Charging Station)을 주요 거점에 구축해왔고, 2023년에는 중장기 프로젝트 차징 넥스트(Charging Next)를 발표했다. 현재까지 전국에 총 2800기의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 완료했으며, 연말까지 3000기 구축을 목표로 한다.
특히 올해 선보인 BMW 차징 허브 라운지(Charging Hub Lounge)는 단순 충전소를 넘어 휴식과 경험이 결합된 공간으로, 전기차 충전의 개념을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로 확장했다. 또 연말 공개 예정인 ESG 차징 스테이션(ESG Charging Station)은 재생에너지 기반 친환경 충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런 인프라 투자는 브랜드의 체험 전략과도 맞물린다. BMW 코리아는 국내 자동차업계 최초로 BMW BEV 멤버십(BMW BEV Membership)을 운영하며, 고객이 직접 전기차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올해 5월부터 10월까지 2500여명이 참여해 브랜드 핵심 가치인 운전의 즐거움을 전동화 차량에서도 체험했다.
◆안전에서도 한 발 앞서…남다른 AS 경쟁력 확보
BMW 코리아의 전동화 전략은 안전성에서도 뚜렷한 차별점을 보인다. 커넥티드 기술 기반의 BMW 프로액티브 케어(Proactive Care)는 충전 중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과열·과충전 등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 BMW는 국내 수입사 중 유일하게 정부 주도 전기차 화재신고 시범사업에 참여 중이다. 국토교통부, 교통안전공단, 소방청과 협력해 전기차 배터리 이상 감지 시 자동 신고 체계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화재 골든타임 확보와 안전 인프라 확산을 목표로 한다.
BMW 코리아는 전동화 모델 특화 애프터서비스(AS) 시스템 구축에도 업계 선두다. 현재 전국 80개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전동화 모델의 정비 및 소모품 교환이 가능하며, 고전압 배터리나 사고수리 등 고난도 작업은 42곳에서 전문적으로 지원한다.
전기차 전담 기술 인력만 480명으로, 이는 국내 수입차 브랜드 중 최다 수준이다.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인력 양성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