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가정보원이 지난 9월 KT(030200) 일부 스마트폰에서 문자 메시지(SMS) 암호화가 해제되는 현상을 확인하고 KT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공식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정원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최민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정원은 "KT의 일부 스마트폰 기종에서 문자 암호화가 해제될 수 있다"는 제보를 입수한 후 사실관계를 확인했다.
그 결과 문자 통신이 '종단 암호화' 방식으로 보호되지 않아 중간 서버에서 복호화될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통사들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권고에 따라 송신부터 수신까지 중간 서버가 내용을 복기할 수 없도록 종단 암호화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정원의 검증 결과, KT 일부 단말기에선 이 보호 장치가 무력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민·관 합동으로 구성된 KT 해킹 조사단은 국정원의 통보 내용을 토대로 일부 스마트폰만의 문제가 아닌 KT 전체 가입자 망에서도 동일 현상이 재현될 수 있는지를 추가로 조사 중이다.
아울러 최 의원이 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는 또 다른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KT는 지난해 3월 BPF도어(BPFDoor) 악성코드 감염을 확인하고 다음 달인 4월에야 관련 사실을 파악한 뒤 대만 보안업체 트렌드마이크로에 백신 업데이트를 요청한 것으로 드러났다.
트렌드마이크로는 한국 통신사 대상 BPF도어 공격 사실을 분석해 발표했지만, 당시 고객사 사정을 이유로 구체적인 통신사명을 공개하지 않았다.
KT가 이같은 사실을 알고도 은폐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최 의원 측은 국정원의 문자 암호화 해제 통보와 맞물려 "KT가 BPF도어 감염 사실을 알고도 외부에 알리지 않았고 국정원 통보에도 무기력하게 대응했다"고 지적했다.
조사 결과 BPF도어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서버 43대 가운데에는 가입자 개인 정보가 저장된 서버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최 의원은 KT 경영진의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