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임직원 개인정보 유출...'노조 탄압' 문건 노출

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 5000여명의 주민등록번호와 연봉, 인사고과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담긴 내부 인사 자료가 한때 공용 폴더를 통해 접근 제한 없이 노출됐다.

특히, 이 자료에는 회사 쪽이 노조 집행부를 감시한 정황이 담긴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파악돼 논란이 예상된다.

'역량평가' 방식을 구성원 동의 없이 불이익하게 변경하려 한 계획이 발견됐고,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 앱에서 여론 조작을 시도한 정황 자료도 있었다.
'역량평가' 방식을 구성원 동의 없이 불이익하게 변경하려 한 계획이 발견됐고,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 앱에서 여론 조작을 시도한 정황 자료도 있었다.

노조는 지난 6일 사내 업무용 공용 폴더에서 임직원 5천여 명의 주민등록번호, 집 주소, 학력, 연봉, 고과 등 인사 정보가 누구나 열람 가능한 상태로 방치돼 있었다고 밝혔다.

해당 폴더에는 회사 주요 경영자료도 포함돼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노조는 해당 내용들이 권한없는 사람도 모두 열람이 가능해서 회사측에 "권한 차단을 요청했는데, 사측이 노조 사무실에 무단으로 들어와 PC네트워크를 차단하고 기기 회수까지 시도했다"고 주장했다.

또 회사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신고를 하지 않아 노조가 9일에 직접 개보위에 신고했다고 말했다.

개인정보 보호법은 1천명 이상의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경우 개인정보처리자가 이를 개보위나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저성과자 리스트'가 단순히 고과가 낮은 사람이 아닌, 별도의 기준으로 분류되었던 사실이 확인됐다.
'저성과자 리스트'가 단순히 고과가 낮은 사람이 아닌, 별도의 기준으로 분류되었던 사실이 확인됐다.

노조 관계자는 “해당 자료가 근로 조건 및 인사평가 기준과 직결되는 만큼 악용 가능성이 있는 심각한 사안”이라며 “접근 경위와 유출 여부에 대한 전면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앞서, 노조는 사측에 경위 설명 및 재발 방지 대책 논의를 요구했으나, 사측은 이를 바로 수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에서는 "이번에 유출된 자료에는 단순한 노조 탄압이 아니라 불이익을 주는 내용이 다수 있었다"며, "노조 관리리스트, 특정 팀 상위고가 반영, 마음건강센터 다녀 온 직원명단 징계폴더 분류 등으로 충분히 노조 탄압으로 볼 수 있는 자료들이 다수 나왔다"고 말했다.

이에 상생지부는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지난 9일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및 노조 탄압 등의 이유로 고용노동부에 신고했다.

초기업노조는 삼성전자와 삼성생명,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바이오로직스 4개 노조로 구성됐으며 노조원은 5만4000여명이다.

한편,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는 사내 안내문을 발송해 임직원에게 사과하고, 자료를 외부로 유출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삼성바이오로직스, 임직원 개인정보 유출...'노조 탄압' 문건 노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